상세정보
미리보기
알아두면 쓸모 있는 철학 상식 사전
- 저자
- 마이클 무어 저/이규리 역
- 출판사
- 크레타
- 출판일
- 2024-06-21
- 등록일
- 2024-12-20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57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고대의 소크라테스부터 현대의 비트겐슈타인까지,한 권으로 엿보는 지금까지의 철학!철학 학파마다 삶의 궁극적 목적은 어떻게 다를까?죽음 이후에 무엇이 있을까?니체는 왜 신은 죽었다고 말했을까?더 좋은 삶이란 어떤 것일까? 비트겐슈타인은 왜 언어의 한계가 자신의 한계를 의미한다고 말했을까?이 책에는 아득히 먼 고대 그리스부터 현대까지의 수많은 철학자가 등장한다. 고대 그리스의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물론 데카르트와 홉스, 롤스와 니체를 거쳐 마르크스, 그리고 현대의 토머스 네이글과 데이비드 차머스까지…. 우리는 생애를 바쳐 철학적 질문에 답하려 애쓴 이들의 생각을 들여다보며 새로운 관점을 얻을 수 있다. 인식론에서 실존주의에 이르는 인류의 오랜 질문과 치열하게 싸워온 철학자들의 문제의식과 탐구의 역사를 살펴본다.
저자소개
시카고 대학교 철학 박사. 주요 관심 분야는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그리스 철학이지만 고대 그리스 철학자들이 그랬듯 시, 역사, 연극, 심리학, 수사학 등 다양한 분야에 관심이 있다. 키케로와 아우구스티누스, 보에티우스와 같은 고대 로마 철학자들을 연구하기도 했다. 개인 블로그(ancientgreekphilosopher.com)를 운영하며 고전 철학을 주제로 다양한 글을 쓰고 있다.
목차
들어가며 01 무엇을 위해 살아가는가 최고선 또는 인간 삶의 목적02 우리 삶은 이미 정해져 있는 걸까 결정론과 자유의지03 제논의 역설 움직임과 변화의 불가능성04 우주는 하나일까, 여럿일까 단일한 현실과 다중현실05 에피쿠로스의 쾌락 이론 인간의 삶에서 행복이 하는 역할06 판단의 기준은 무엇일까 프로타고라스의 ‘인간은 만물의 척도다’07 모래 한 톨도 더미가 될까 소리테스 역설08 모든 것을 의심하라 회의주의 훑어보기09 우리는 진정한 세계를 볼 수 없다 플라톤의 동굴 우화10 변하지 않는 영원한 이상 플라톤의 이데아11 고대 철학이 상상한 원자론 에피쿠로스의 빗나가는 원자12 삶의 끝은 모든 것의 끝이다 에피쿠로스의 죽음을 향한 두려움에 대한 관점13 네 가지 원인으로 설명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4원인론14 대상을 이해하는 출발점 아리스토텔레스의 범주론15 감정은 미덕이 아니다 스토아학파의 감정 제거하기16 나는 여기에 있다 존재한다는 개념17 과연 신은 있을까 신성한 존재18 증명할 수 없는 믿음 기적이 일어날 확률19 신이 이 모든 것을 만들었을까 자연 세계의 설계20 세계를 이루는 두 가지 개념 선과 악21 지식의 다양한 측면 앎의 본질22 육체와 분리되는 영혼이 과연 있을까 불멸하는 영혼의 존재23 진실이란 무엇일까 참과 거짓24 신의 죽음을 선언하다 니체의 초인25 더 좋은 삶이란 어떤 것인가 키르케고르의 삶의 방식 3단계26 최대 다수의 최대 이익 공리를 위해 행동하기27 어떤 경우에도 해야 할 일을 하라 의무에 따라 행동하기28 중도를 지키는 미덕의 실천 덕에 따라 행동하기29 아름다움,자연과 예술 사이 예술적 판단과 미적 가치30 바라보는 방식에 따라 달라진다 시간의 철학31 의심하는 한 나는 존재한다 데카르트의 코기토 명제32 평화를 향한 열망 홉스의 자연 상태33 존재는 마음에 달렸다 버클리의 존재와 지각 명제34 경험을 해석하는 하나의 원리 흄의 인과 추론35 물질적 구조가 사회를 구성한다 마르크스의 역사유물론36 공정함을 위한 상상의 도구 롤스의 무지의 베일37 앎 또는 지식의 조건 게티어 문제38 세계를 바라보는 패러다임의 전환 쿤의 혁명 개념39 인공지능은 자신이 하는 일을 이해하는가 설의 중국어 방40 물질의 작용이 어떻게 의식을 낳는가 차머스의 철학적 좀비41 삶은 단순한 경험 그 이상이다 노직의 경험 기계42 박쥐는 세상을 어떻게 경험할까 네이글의 박쥐의 경험43 역사는 변증법적으로 발전한다 헤겔의 테제, 안티테제, 진테제44 가치와 해석의 틀이 선택을 좌우한다 뉴컴의 역설45 정확한 언어로 세계를 기술하려는 열망 논리실증주의46 우리는 프로그램 속 존재일까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서의 세계47 풀리지 않는 의문 자아정체성이라는 수수께끼48 인간이기에 지니는 권리 인권의 발전49 상상력으로 현실을 가늠하다 사고실험50 우리의 말이 우리의 생각을 결정한다 언어와 사고찾아보기 그림 및 사진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