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 인문학으로 읽다
나이 많고 경륜이 있는 사람을 일러 살아 있는 도서관이라고 한다면, 오랫동안 이 땅에 살아온 노거수는 살아 있는 생명 문화재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 전역에 있는 크고 오래된 나무와 그 나무를 직접 심거나 관련 있는 역사 속 인물의 자료를 정리한 이 책에서는 긴 세월 살아온 나무들의 많은 이야기를 전해주고 있어 우리가 살아가는데 많은 위안과 교훈을 준다.
이 책에서는 나무를 자연 과학적 입장에서보다 그 나무가 그곳에서 자라기까지의 이야기들을 인문학적인 입장에서 조명하였다. 나무의 잎이 어떤 모양이며 어떤 토양과 기후에 잘 자라는지, 꽃은 무슨 색깔인지를 알기보다는 언제 무슨 연유로 누가 심었는지, 그분이 어떤 분인지, 지역사회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 등을 살펴 인물, 역사, 나무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도록 하였다.
살아있는 생명문화재인 나무를 재발견하여 자연을 사랑하고 보전하고자 하는 마음을 가지도록 한 것이 기존의 문화유산답사기와 차이가 있다.
예를 들어 서울의 경복궁은 한국을 대표하는 궁궐이지만 그 건물 뒤안 화계(花階)의 앵두나무는 문종이 앵두를 좋아하는 아버지 세종을 위해 심은 효심이 깃든 나무이고, 충남 천안이 호두과자로 유명한 것은 고려시대 유청신이라는 사람이 중국에서 가져와 심은 것이 널리 재배된 데에서 비롯되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또 경북 영양군 두들마을의 굴참나무는 음식 ‘디미방’의 저자 장계향 여사가 도토리로 죽을 쑤어 굶주린 이웃의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 심은 사대부가의 정신이 깃들어 있으며, 전남 해남군청 뜰에서 지금도 왕성하게 자라고 있는 수성송은 임진왜란 37년 전인 1555년 왜구들이 60여 척의 선박을 이끌고 침범한 것을 물리친 당시 해남 현감이던 변협 선생이 심은 나무이다.
이처럼 나무는 자라 온 세월만큼이나 많은 이야기를 간직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해 경상남도와 경상북도, 전라남도와 전라북도 등 전국을 8개 권역으로 나누어 역사적 인물과 관련된 생태관광자원 대상과 스토리가 있는 노거수를 발굴, 정리하여 역사와 생명문화의 가치를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책은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의 2015년 “우수 출판콘텐츠 제작 지원”으로 출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