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홉스의 리바이어던
- 저자
- 선우현 저
- 출판사
- EBS BOOKS
- 출판일
- 2024-04-10
- 등록일
- 2024-08-05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51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b>‘왜 아직도 홉스의 『리바이어던』인가?’에 대한 답변</br>‘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선도 사상가로서 홉스를 부각하다</B></br></br>토마스 홉스의 정치철학은 그동안 왜곡된 해석과 부당한 평가를 받아 왔다. 저자 선우현 교수는 전통적이고 정통적인 해석에 따라 『리바이어던』을 읽지 않고, 비판적으로 재구성된 해석에 의거해 보다 진보적이며 사회 혁신적인 정치철학 체계로 『리바이어던』을 새롭게 해석해보고자 시도했다. </br></br>홉스의 사상은 절대왕정 및 군주 정치를 옹호하는, 반민주적이며 전근대적 철학 사상으로 치부되어 왔다. 이 해석은, 동일한 사회계약론의 전통을 계승·발전시킨 존 로크의 정치철학이 ‘자유주의적 민주주의’의 선구적 입론으로 평가받는 것에 비추어볼 때, 매우 박한 평가라 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저자는 홉스 역시 ‘인민’이 주체가 되는 ‘민주주의 이념’을 추구·구현하고자 시도한, 진정한 의미의 ‘근대적’ 정치 사상가였음을 밝혀보고자 한다.</br></br>저자는 자연권 사상에 대한 기원 탐색과 정부에 대한 저항권 담론의 구상, 전개 양상을 들여다보면서, 전적으로 로크 등에 의해 최초로 구상·제시된 것인 양 받아들여지고 있다고 진단한다. 그에 비해 홉스는 민주적 저항권을 인정하지 않은 반민주적·반자유주의적 사상가로 읽히거나 오인되어 있다는 것이다. 쉽게 말해, 홉스와 관련해서는 “국민들은 군주에 절대 복종”으로 요약하고 있으며, 반면에 로크에 관해서는 “정부에 대한 저항권 인정”으로 답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같은 문제 상황인 만큼, 근거 없는 선입견 등에 의거해 홉스의 철학에 가해지는 무분별한 폄훼나 비난, 왜곡된 해석과 부당한 평가를 바로잡아 홉스 정치철학의 온전한 모습을 드러내 보이고자 했다.
저자소개
1960년 서울에서 태어났다. 연세대학교 철학과와 서울대학교 철학과 대학원을 졸업하고 〈합리성이론으로서 하버마스의 비판적 사회이론〉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철학의 여러 분과학문들 가운데 특히 사회철학을 전공으로 삼아 공부하게 된 것은, 철학이란 단지 순수 이론 차원에 머무는 학문이 아니라 이론과 실천의 통일을 끊임없이 추구하는 실천적 학문이며 이 점에서 사회철학이 철학(함)의 본령이라는 생각에서였다. 적어도 사회철학은 우리 사회의 구조적 모순이나 문제점들을 제대로 진단하고 해결하는 데 기여할 지침을 제시해줄 수 있다는 믿음이 오늘까지 철학함에 매달리게 하고 있지 않나 싶다. 학위 취득 후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국민대학교 등에서 강의했으며,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특별연구원, 통일정책연구소 연구위원, 대한철학회 부회장, 사회와철학연구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현재 청주교육대학교 윤리교육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IMF체제라는 어려운 상황에서 연구소에 적을 두었던 것은, 분단과 통일의 문제가 현재 우리 사회의 가장 큰 문제라는 사실을 제대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해주었다는 점에서 참으로 고마운 일이었다고 생각된다. 이론에 매몰된 철학이 아닌 철저히 실천의 지평에서 이루어지는 철학함의 중요성을 북한과 통일 문제를 다루는 현장에서 다시금 뼈저리게 느낄 수 있었기 때문이다. 아울러 우리 사회를 위해 철학이 해야 할 역할에 관해서도 조금은 분명히 깨닫게 되었으며, 아마도 이러한 문제의식이 북한의 철학을 지금까지 연구하도록 이끌지 않았나 싶다. 앞으로도 북한의 정치철학, 특히 인간중심철학의 의의와 한계 그리고 남북한 간 사상적 통합의 문제 등에 관해 많은 관심을 기울일 생각이다.
주요 저서와 논문으로는 『위기시대의 사회철학』, 『주체사상과 인간중심철학』(공저), 『평등』, 『다문화사회의 이해』(공저), 『한반도의 분단, 평화, 통일 그리고 민족』(편집), 〈공동체주의의 그림자, 신보수주의의 정당화 논리〉, 역서로는 발터 레제-쉐퍼의 『하버마스: 철학과 사회이론』, 마이클 왈쩌의 『정의와 다원적 평등』(공역)이 있다.
목차
서문</br></br><b>1장 자유 민주주의 이념의 선구, 홉스</b></br></br>문명화 시대에도 왜 투쟁은 계속되는가</br>홉스의 삶과 17세기 영국의 상황</br>리베르타스 대 임페리움</br>시대의 아들로서 홉스 철학</br>시대를 선도하는 아들</br></br><b>2장 『리바이어던』 읽기</b></br></br>새로운 철학적 방법론</br>유물론의 근대적 부활</br>물체로서의 인간</br>선하지도 악하지도 않은 합리적 이기주의자</br>자연법과 자연권, 민주적 절대 평화론의 토대</br>사회계약</br>자유주의적 국가론</br>절대군주제에서 제한적 군주제로</br>저항권 담론, 현대 인권론의 효시</br>리바이어던의 죽음</br>교회 권력의 실체 규명에 목숨을 걸다</br>개인의 종교 자유를 부르짖다 </br>스콜라 철학, ‘어둠의 왕국’의 이데올로기</br>학문의 자유 상실을 고발하다 </br></br><b>3장 철학의 이정표</b></br></br>르네 데카르트, 『방법서설』</br>존 로크, 『통치론』 </br>마르크스·엥겔스, 『독일 이데올로기』</br>존 롤스, 『정의론』 </br>노암 촘스키, 『그들에게 국민은 없다』 </br>리처드 도킨스, 『만들어진 신』</br></br>생애 연보 </br>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