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눈물이 마르는 시간

눈물이 마르는 시간

저자
이은정
출판사
마음서재
출판일
2019-11-29
등록일
2019-12-19
파일포맷
EPUB
파일크기
0
공급사
북큐브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현황
  • 보유 1
  • 대출 0
  • 예약 0

책소개

그는 한때 우람한 나무만 보면 생각했다. ‘목매달기 참 좋은 나무다….’ 사람들이 나무 밑에서 사진을 찍고 도란도란 점심을 먹을 때, 그는 나무에 매달린 끈을 상상하며 희열에 젖곤 했다. 마지막 남은 끈을 끊어야만 모든 번뇌에서 벗어날 수 있으리라 생각하며.



삶의 무게에, 사람과의 반복되는 상처에 지쳐 생의 끈을 놓아버리고 싶었던 그는 바닷가 마을로, 또 산골 마을로 자신을 유폐시킨다. 그렇게 생의 막다른 길에 이르렀을 때, 그는 비로소 내면의 상처를 마주하고 온전히 자기만을 위한 삶을 살기로 결심한다. 이 책은 문학이라는 나무에 목매달고 살아가는 한 작가가 시골의 자연과 고독 속에서 스스로 상처를 치유해가는 과정을 담담히 써내려간 살뜰한 성장의 기록이다.





시골의 자연과 고독 속에서 자기만의 삶을 찾은

한 사람의 솔직담백한 이야기



대낮에도 고라니가 마실 나오고 밤이면 멧돼지가 텃밭을 서리하러 내려오는 곳. 아침이면 새소리에 눈을 뜨고, 깊은 밤엔 먼 골에서 들리는 부엉이의 목소리를 들으며 잠을 청하는 곳. 멀리 가지 않아도 바다와 맞닿은 일출과 일몰을 볼 수 있고, 정월 대보름엔 거대한 보름달이 집 앞 나무에 걸리는 곳. 좋은 것만 건네는 숲이 있고, 그 위로 쏟아질 듯 별들이 반짝이는 곳…. 작가가 사는 곳은 자연과 짐승과 사람이 공존하는 산골 작은 집이다.



이은정 작가는 2년에 한 번, 여행 다니는 기분으로 이사를 다녔다. 내면에 상처를 가득 안고서 세상 모두와 인연을 끊고 시골에 자신을 유폐시켰다. 그곳에서 그를 맞아준 것은 자연과 고독이었다. 젊은 여자에게 자연은 마냥 우호적이지 않았고, 고독은 더러 사람에게 받은 상처만큼 견디기 힘들었다. 시골살이의 불편함에 익숙해지고, 지독한 고독마저 즐길 수 있게 됐을 즈음 그동안 외면해왔던 자신의 모습이 보였다. 그리고 비로소 가슴에 묻어둔 상처와 대면할 용기가 생겼다.



세상과 사람으로부터 상처 받고 도망치듯 시골 마을로 숨어들었지만 그럼에도 작가가 놓지 않은 것이 있다. 그것은 바로 문학. 배고픔의 절망과 고독의 한계와 죽음의 문턱을 넘어서게 해준 것은 문학이었다. 그래서 하루에 열다섯 시간씩 책상 앞에 앉아서 쓰고 또 썼다. 글쓰기는 불행한 운명의 강을 건너게 해주는 단 하나의 희망이었다. 그렇게 벼린 문장들이 모여 이 산문집으로 태어났다. 글을 써온 지 20년 만에 처음 문학상이라는 걸 받았고, 책을 내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배고픔의 절망에서, 고독의 한계에서,

죽음의 문턱에서 비로소 되돌아본 인생이란



한때 목매달기 좋은 나무를 찾던 작가는 이제 문학이라는 나무에 목매달고 살아가며 마흔이 넘어서야 돌보게 된 자신의 삶과 일상에 대해 들려준다. 작가가 시골 마을로 자주 이사 다닌 덕분에 글의 배경은 바닷가가 되기도 하고 산골이 되기도 한다. 그는 바닷마을에서 참았던 울음을 실컷 토해내고, 산마을에서 살아온 지난날들을 비로소 마주할 용기를 얻는다. 대부분을 잃고 모든 걸 내려놓은 뒤에야 그는 깨닫는다. “다른 사람들의 술잔을 채워주고, 다른 사람들의 인생을 들어주느라 정작 나를 외면하고 살았던 것”이라고.



홀로 일어서는 삶이 눈물겹지만 작가의 시선에 담긴 삶의 모습들은 더없이 따뜻하고 인간적이다. 비릿한 어촌 마을의 사람살이와 산골 마을의 다사다난하고 소박한 일상을 서정성 가득한 문장에 담아낸다. 산문집에는 작가가 그동안 만난 많은 이들이 주연으로 등장한다. 늦은 밤 노래 부르며 귀가하는 어부들, 수레를 끌고 폐지 줍는 노인들, 자신이 쓴 소설책을 팔러 다니는 무명작가, 숟가락 하나마저 아낌없이 나눠주고 무(無)로 돌아간 이웃 할머니, 인생을 달관한 여든의 할머니, 그리고 이제는 노인이 되어버린 부모님이 그들이다. 작가는 이들의 모습을 통해 인생을 깨달아가고 타인의 삶을 이해한다.





우린 대신 아파줄 수는 없지만

같이 울어줄 수는 있습니다



작가가 들려주는 시골살이는 도시인들이 기대하듯 낭만 가득한 삶은 아니다. 때로는 산에서 내려온 멧돼지와 맞서야 하고, 집 안에 함부로 난입한 쥐와도 신경전을 벌여야 한다. 글쓰기 말고는 마땅한 벌이가 없으니 잔고가 바닥나 끼니를 걱정해야 하는 날도 있다. 그럼에도 넉넉한 품을 내어주는 자연이 있고, 기꺼이 나누는 이웃들이 있어 행복한 삶이다.



포기하지 않고 버틴 끝에 작가는 한 가지 깨달음을 얻는다. 돌아보니 혼자 온 것은 아무것도 없었다고. 저 나무들이 그렇듯이 우리는 절로 성장하는 것이 아님을, 무수한 상처와 고통의 시간들이 결국 우리를 성장하게 한다는 것을. 작가는 지금 그런 아픔을 견디고 있는 이들에게 손을 내민다. 당신의 아픔을 치유해줄 수는 없지만 옆에서 같이 울어줄 수는 있다고, 그러니 눈물에 인색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말한다.



살면서 겪는 어떤 상처는 회피하지 않고 정면으로 마주해야만 진실로 치유될 수 있다. 아파도 아프다고 말하지 못하는 사람에게, 울고 싶어도 울지 못하는 사람에게, 그리하여 자기를 돌보는 법을 잊어버린 사람에게 이은정 작가의 산문집이 묵묵한 위로가 돼줄 것이다. 책속의 한 문장에 설핏 눈물이 고인다면 담아두지 말고 그냥 실컷 울어버려도 좋으리라.

QUICKSERVICE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