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대다수 관객이 영화와 일차적 관계를 맺는 곳은 극장이다. 극장은 그것이 자리한 지역과 도시 그리고 지역민이자 관객과 연관을 맺으며 자신의 역사를 이뤄 왔다. 이 책은 기존 서울 중심의 역사 서술을 재고하고 지역성 규명을 목표로 한국 극장의 사회문화사를 탐구한다. 도시의 성격과 공간 변화의 맥락에서 극장의 사회적 역할과 기능을 살펴보고 일상생활 세계의 경험 공간으로서 극장의 의미와 장소성을 기술한다. 극장 문화의 다층적 양상에 대한 이해는 지역의 대중문화 발굴과 문화적 정체성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멀티플렉스 시대 개인과 공동체를 아우르는 대안적 영상 문화의 생산과 향유를 고민하는 이들에게 시사점을 제공한다.
저자소개
저자 : 위경혜
저자 위경혜는 순천향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학술연구교수다. 전남대학교에서 사회학 학사와 석사를 취득하고 미국 텍사스주립대학교 영화학과에서 영화학 석사학위를 받았다.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Irvine) 동아시아문화학과에서 박사과정을 수학했으며,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예술학과에서 영화영상이론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저서로 『혼종성 이후』(공저, 2017), 『한국의 근현대 통치질서와 지역사회의 대응』(공저, 2017), 『새만금도시 군산의 역사와 삶』(공저, 2012), 『호남의 극장문화사: 영화수용의 지역성』(2007), 『광주의 극장 문화사』(2005) 등이 있다. 논문은 “극장 문화의 지역성―한국전쟁 이후 대전을 중심으로”(2017), “인천의 극장 문화: 한국전쟁이후∼1960년대를 중심으로”(2016), “식민지 엘리트의 ‘상상적 근대’: ‘최남주’의 활동을 중심으로”(2015), “군민(軍民) 협동과 영화 상영: 강원도 ‘군인극장’”(2014), “식민지 근대문화의 혼종성: 1920년대 목포극장과 동춘서커스”(2013), “1950년대 ‘굿쟁이’ 이동영사: 유랑예인 연행과 시각적 근대의 매개”(2012), “한국전쟁 이후 극장 문화 로컬리티(locality): 강원도 도시를 중심으로”(2010), “한국전쟁이후∼1960년대 문화영화의 지역 재현과 지역의 지방화”(2010), “한국전쟁이후 1960년대 비도시 지역 순회 영화 상영: 국민국가 형성과 영화산업의 발전”(2008)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