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역사 속의 젊은 그들’을 통해 ‘미래 속의 젊은 우리’를 만나다!
18세기 북학파에서 21세기 복합파까지 『역사 속의 젊은 그들』. 이 책은 북핵 문제와 전쟁과 평화 등을 연구해 온 국제정치학자이자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인 하영선이 동아시아연구원이 주최하고 조선일보가 후원한 연속 강좌에서 비전공자들을 대상으로 2010년에 강의한 것을 바탕으로 쓴 책이다. 18세기부터 21세기까지 한국의 외교 정책과 대외 인식의 발전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연암 박지원, 다산 정약용, 환재 박규수, 구당 유길준, 약영 김양수, 민세 안재홍, 동주 이용희와 21세기 복합파에 대해 다루며 오늘날 한국의 국제 관계에 대한 해답을 모색한다. 광범위한 사료 조사와 탁월한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국 근대사를 국제정치적 관점으로 재해석하였으며, 중국과 구미 중심의 세계 질서 속에서 생존을 모색해 온 한국의 지적 대안을 밝힌다.
저자소개
저자 : 하영선
저자 하영선은 북핵 문제와 전쟁과 평화 등을 연구해 온 한국의 대표적인 국제정치학자이다. 서울대학교 외교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학위를,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한국 핵 문제로 국제정치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서울대 정치외교학부 교수이다. 서울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장, 미국학연구소장, 한국평화학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동아시아연구원 지구넷21 회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조선일보와 중앙일보에 '하영선 칼럼'을 10년 동안 연재해 온 지은이는 연행 연구 모임, 전파 연구 모임, 정보세계정치 연구회, 동아시아연구원 모임 등을 이끌며 한국 국제정치학의 길을 개척해 왔다. 강의와 답사를 연계한 프로그램인 ‘체험하는 외교사’라는 학습 모델을 개발하여, 창의적인 강의로 교육 수준을 향상시킨 공로로 2009년 ‘서울대 교육상’을 받았다. 국제관계와 역사를 접목한 그의 강의는 딱딱한 사회 과학의 모습을 탈피해서 전문적인 지식을 갖고 있지 않은 일반인과 학생도 쉽게 만날 수 있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다. 저서 및 편저로는 『변환의 세계정치』,『네트워크 지식국가』, 『21세기 평화학』, 『국제화와 세계화』, 『21세기 한국외교 대전략: 그물망국가 건설』, 『동아시아공동체: 신화와 현실』, 『근대 한국의 사회과학 개념 형성사』, 『21세기 신동맹』, 『북한 2032: 북한 선진화로 가는 공진전략』, 『네트워크 세계정치』, 『12시간의 통일이야기』, 『위기와 복합: 세계금융위기 이후 세계질서』, 『한반도의 전쟁과 평화』, 『한반도의 핵무기와 세계질서』 등 다수가 있다. 서울대에서 지난 30여 년간 강의하고 연구했던 내용들을 모두 모아서 이 책을 포함한 20권 가량의 『하영선 저작집』을 앞으로 선보일 예정이다.
목차
강의를 시작하며: 미래 속의 젊은 우리들
제1강. 연암 박지원의 중국 바로 보기
만남
1. 중국의 부상과 미래
2. 중국과 한반도
3. 중국 바로 알기: 연행록 읽기
삶
1. 우울한 가슴앓이(1737~1767)
2. 백탑파 모임(1768~1785)
3. 뒤늦은 벼슬살이(1786~1805)
앎
1. 존화양이론
2. 청조 대외정책의 복합성
3. 조선의 대청 복합 그물망 외교론
연암의 유산
질의응답
제2강. 다산 정약용의 좌절한 정치 개혁
만남
1. 동주의 중매
2. 다산의 정치학적 접근
삶
1. 실학 공부와 천진암 강학회(1762~1782)
2. 정조와의 운명적 만남(1783~1800)
3. 다산의 강진 유배(1801~1818)
4. 여유당의 말년(1819~1836)
앎
1. 조선조 당시 허학(虛學)의 비판
2. 정치적 정당성 싸움의 경학 연구
3. 정치권력의 유지 관리
4. 정치권력 장악을 위한 군사론
5. 다산 연구의 부활
질의응답
1. 다산의 국제정치학 평가
2. 다산의 21세기적 의미
제3강. 환재 박규수의 개화파 사랑방
만남
1. 21세기와 19세기
2. 위정척사론
3. 박규수의 사랑방
삶
1. 유년 시절과 은둔기(1807~1847)
2. 출사와 관직 생활(1848~1873)
3. 박규수의 사랑방(1874~1877)
앎
1. 홍양후에게 보낸 편지의 북학 전통
2. 『상고도회문의례』의 존명 사상
3. 냉안간시무 허심독고서
4. 『거가잡복고』의 정치학
5. 「벽위신편평어」와 『해국도지』의 영향
6. 제너럴셔먼호 사건과 일곱 편의 외교 문서
7. 조일 수교의 서계 문제(1873~1876)
환재의 유산
질의응답
1. 박규수 사랑방에서 여의도 사랑방까지
2. 박규수 사랑방의 실패 원인
3. 21세기 주한 미군과 동아시아 군사 질서
제4강. 구당 유길준의 삼중 어려움
만남
1. ‘Civilization’과 ‘文明’
2. 개념사 연구
3. 동서고금 전파 연구
삶
1. 전통 유학 수학(1856~1872)
2. 개화사상 수학(1873~1882)
3. 연금 은둔 생활(1885~1893)
4. 갑오개혁(1894~1895)
5. 일본 망명 생활(1896~1907)
6.「평화광복책」(1907~1914)
앎
1. 문명개화론
2. 양절 체제론
3. 군민공치론
조선 문명화의 좌절
1. 갑오개혁의 좌절
2. 균세의 실패
3. 국내 역량의 효율적 동원 실패
질의응답
1. 유길준의 정치학은 국적 없는 정치학인가?
2. 양절과 복합의 가능성
3. 표준의 생산
제5강. 약영 김양수의 미완성 식민지 국제정치학
만남
1. 식민지 시기 국제정치학의 빈곤
2. 약영과의 만남
3. 국제협조주의의 개념사
삶
1. 국내 수학과 일본 유학(1896~1918)
2. 식민지 시기 언론 활동(1918~1930)
3. 식민지 시기 사회 활동(1930~1945)
4. 해방 이후 정치 활동(1945~1969)
앎
1. 「사회 문제에 대한 관념」
2. 「과거 1년의 세계: 대세를 지배하는 3대 사조」
3. 「1년간의 세계 대세」, 「세력균형주의와 국제협조주의」
4. 「양대 세력의 석금관(昔今觀)」, 「구미 국제 정국의 전망」
약영의 유산
질의응답
1. 김양수에 대한 평가
2. 국제정치 현실의 협력과 갈등의 복합
제6강. 민세 안재홍의 실패한 20세기 복합론
만남
1. ‘민세’적 고민의 공유
2. 한국 민족주의의 문제
3. 복합론의 역사
삶
1. 국내 수학과 일본 유학(1891~1914)
2. 국내 활동과 징역 생활(1915~1923)
3. 조선일보와 신간회(1924~1931)
4. 민세주의와 조선학(1932~1944)
5. 해방 이후 정치 활동(1945~1965)
앎
1. 민세 제1기: 민중의 세상
2. 민세 제2기: 신간회의 국내 복합론
3. 민세 제3기: 민족적 국제주의
4. 민세 제4기: 신민족주의
민세 20세기 복합론의 실패와 영향
질의응답
1. 민족주의에 관한 사학계와 동주의 입장
2. 유학 문제
3. 보수-진보 이분법의 극복
제7강. 동주 이용희와 한국 국제정치학
만남
1. “그것이 그런 것 같지 않다”
2. 권역과 전파의 국제정치학
3. 제왕의 학문
삶
1. 식민지 시절(1917~1945)
2. 서울대 교수 시절(1949~1975)
3. 현실 참여 시절(1975~1997)
앎
1. 동주 국제정치학의 출발
2. 『일반국제정치학(상)』
3. 세계정치의 이중 구조화
4. 『미래의 세계정치』
동주 국제정치학의 중요성
질의응답
1. 영국 학파와 동주 국제정치
2. ‘역사의 수레바퀴’와 역사 진행의 방향
3. 노재봉 선생님의 보론
제8강. 복합파의 암호 풀기: 21세기 세계정치학
만남
1. 탈냉전에서 복합으로
2. 은유에서 분석으로
3. 한국 외교의 복합 네트워크 연구
복합파 모임의 연구 내용
경제 위기 이후 세계 질서와 한국의 복합 외교
1. 세계 질서의 미래
2. 동아시아 세력 분포도
3. 미국의 동아시아 정책
4. 중국과 일본의 동아시아 정책
5. 북한 문제
6. 한국의 복합 외교
21세기 복합파의 미래
질의응답
강의를 마치며: 젊은 세대들의 역사적 대화
인물 연보
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