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식의 고고학』은 원래 《말과 사물》의 ‘이론적’ 토대를 확립하려는 목표 아래 쓰인 책으로, 푸코는 이 책에서 이른바 ‘구조주의’ 이론에 대한 다각적인 비판적 검토를 수행한다. 푸코의 『지식의 고고학』은 자신이 내세우는 ‘언표’가 기존의 문장, 명제, 발화행위 등의 개념과 어떻게 다른지 적극적으로 논증한다.
목차
1장 들어가면서 - 『지식의 고고학』의 일반적 특성·7
2장 『지식의 고고학』 - 『말과 사물』을 잇는/잊는 책·11
1. 『말과 사물』이 출간된 1966년·12
2. 구조주의란 무엇인가?-이항대립의 체계·15
3. 『말과 사물』의 일반적 특성 - 인식론적 장, 에피스테메·20
1) 말과 사물, 사물의 질서·20
2) 지도와 달력·21
3) ‘인식 가능조건’으로서의 에피스테메·26
4) 역사적 아프리오리·28
5) 지식의 고고학·30
4. 『말과 사물』의 구조·33
5. 『말과 사물』의 난점·37
6. 프랑스의 ‘68년’과 푸코·40
3장 언표와 담론 - 『지식의 고고학』·47
1. 서론 - ‘인간학’을 넘어 ‘지식의 고고학’으로·50
1) 아날학파·50
2) 역사적 ‘문서’에서 고고학적 ‘기념비’로·53
3) 의식·주체·인간학에 대한 이의제기·65
4) 『지식의 고고학』의 방법론적 성격규정·70
2. 담론적 규칙성 - “모든 것은 구성된 것이다”·77
1) 담론의 단위들·77 2) 담론 형성·92
3) 대상 형성·98 4) 언표 작용 양태의 형성·106
5) 개념의 형성·114 6) 전략의 형성·121
7) 고찰 및 결과·126
3. 언표와 문서고·134
1) 언표의 정의·134 2) 언표적 기능·139
3) 언표의 기술(記述)·147 4) 희소성·외재성·축적·159
5) 역사적 아프리오리와 문서고·166
4. 고고학적 기술(記述)·175
1) 고고학과 관념사·175 2) 기원적인 것과 규칙적인 것·179
3) 모 순·182 4) 비교적 사실·186
5) 변화와 변형·190 6) 과학과 지식·198
5. 결 론·217
4장 나가면서 - 담론의 질서, ‘권력-지식’을 향하여·225
참고문헌·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