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북 중 접경지역
- 저자
- 이옥희
- 출판사
- 푸른길
- 출판일
- 2011-03-07
- 등록일
- 2012-02-02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49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동북아 지역 발전의 가늠자, 북·중 접경지역의 새로운 가능성을 예측하다
『북·중 접경지역』은 접경지역의 의미와 기능 변화가 새로운 패러다임이 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북·중 접경지역의 국경을 초월한 교류와 협력이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형성되고 있는지 살펴본다. 대륙을 향한 한반도의 관문인 이 지역을 국경의 속성인 접촉성과 배타성이라는 측면에서 조명하고, 자연환경, 역사, 문화, 경제, 정치 지리적 특성을 규명해본다. 그리고 이 지역이 북한의 경제 회복을 위한 활력소가 될 것인지, 또는 북한이 독점 배후지가 되어 ‘동북4성’으로 전락될 것인지 총체적인 시각에서 전망해본다.
저자소개
저자 이옥희
이화여대 사회생활과(지리전공)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석ㆍ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토연구원을 거쳐 1981년부터 25년간 대학에서 지리를 강의했다. 현재 북한과 동북아 지역에 대해 연구를 계속하고 있다.
- 주요 경력
국토연구원 연구원
명지대, 홍익대 등 강사
U. C. Berkeley(지리학과) 객원연구원
이화여대 사회생활과 조교수
북한대학원 대학교 초빙교수
- 주요 연구
중계수송기지로서 나진 선봉의 입지특성(2000)
두만강 하류 녹둔도의 자연과 토지이용 특색(공동연구, 2000)
북한 지리교육을 위한 초ㆍ중등학교 교수ㆍ학습자료 개발연구(공동연구, 2001)
나진ㆍ선봉경제무역지대의 입지특성과 지역구조(공동연구, 2002)
두만강 하구 녹둔도의 위치 비정에 관한 연구(2004)
서울 강남지역 개발과정의 특성과 문제점(2006)
목차
머리말
Ⅰ. 서론
1. 연구목적
2. 연구지역
3. 연구방법
4. 선행연구
Ⅱ. 접경지역의 변화와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 이론적 배경
1. 개방화와 접경지역의 변화
1) 접경지역의 의미와 기능의 변화
2) 접경지역에서의 상호 협력과 교류
2.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과 도시체계 이론
Ⅲ. 북ㆍ중, 북ㆍ러 접경의 지역특성
1. 자연지리적 특성
1) 지형 특성
2) 기후 특성
2. 천연자원의 분포와 개발
1) 삼림자원
2) 수력
3) 광물자원
3. 이주 조선인의 점이지대 형성 과정
1) 19세기 중엽 - 정치ㆍ사회적 혼란과 조선 이주민의 잠입(潛入)
2) 19세기 말 - 봉금령의 해제와 조선 이주민의 정착
3) 일제의 조선 침략 초기 - 파산 농민의 이주
4) 일제의 만주점령기 - 파산 농민의 강제 이주
4. 국경선과 잠재된 국경 분쟁
1) 국경선과 영토 문제
2) 국경 하천의 이용과 문제점
Ⅳ. 국경 연결로와 변경도시
1. 국경 연결로
1) 국경 출입 통로
2) 접경지역의 교통로
2. 변경도시의 발달
1) 변경도시의 형성
2) 주요 변경도시의 분포와 특성
Ⅴ. 북ㆍ중 변경무역과 국경 도시네트워크
1. 변경무역과 변경구안의 발달
1) 북ㆍ중 변경무역의 발달
2) 북ㆍ중 변경구안의 분포와 특성
2. 접경지역의 교류와 국경 도시네트워크의 형성
1) 화물과 사람의 교류
2) 물류 이동과 국경 도시네트워크
Ⅵ. 동북아 지역 협력 개발과 초국경 도시네트워크
1. 두만강 개발계획과 거점도시의 출현
2. 경제특구의 조성과 변경도시의 발전
3. 동북진흥전략과 초국경적 협력 개발
4. 나진-핫산 프로젝트와 해양-대륙 연계로
Ⅶ. 결론: 초국경 도시네트워크의 발전 전망
참고문헌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