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저자 :
저자 전규찬은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학생들을 가르친다. 미국 위스콘신대학교에서 “한·흑 갈등: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의 일 고찰”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LA 폭동’으로 귀결된 한인 중간 상인 계급과 슬럼 흑인 저계급 간 충돌을 커뮤니케이션 위기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했다. 이후 귀국해 방송개발원 책임연구원과 강원대학교에서 교수 생활을 했다. ≪한국언론학보≫, ≪방송학회보≫, ≪언론과 사회≫, ≪문화/과학≫ 등에 수십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현대 대중문화의 형성」(공저), 「다큐멘리와 역사」(공저), 「신화의 추락, 국익의 유령」(공저)을 비롯한 다수의 저작이 있다. 「텔레비전 오락의 문화정치학」(공저)으로 한국언론학회가 주는 ‘올해의 저술상(희관언론상)’을 받았다.
저자 :
저자 이희은은 조선대학교 신문방송학과 조교수다. 영상 커뮤니케이션 및 문화 연구 분야의 강의와 연구를 한다. 이화여자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신문학과(현 언론정보학과)에서 석사학위를, 미국 아이오와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과에서 “‘우리’를 타자화하기: 전지구화, 정체성, 한국의 대중음악”이라는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주요 논문으로는 “영어와 일상의 공간: 영어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위키피디어 정보의 기술문화적 함의: 집단지성과 지식권력”, “텔레비전 버라이어티쇼의 사적인 이야기 서술” 등이 있다.
저자 :
저자 황인성은 서강대학교 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다. 서강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웨인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컴 석사학위를, 미국 오하이오주립대학교에서 매스컴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3년 귀국하여 한국 종합유선방송위원회 정책연구실 연구위원을 역임했고, 대진대학교와 인천대학교에서 조교수 및 부교수를 지냈다. 저서로는 「가족과 방송」(공저), 「愛人: TV드라마, 문화 그리고 사회」(편저), 「텔레비전 문화 연구」(편저)가 있고, 역서로는 「텔레비전 제작론」(공역), 「아시아의 텔레비전: 텔레비전 산업과 프로그램 포맷, 그리고 세계화」(역)가 있다. 주요 논문으로는 “텔레비전 저널리즘 서사구조의 사회적 폭력성에 대하여”, “‘트렌디 드라마’의 서사구조적 특성과 텍스트의 즐거움에 관한 이론적 고찰”,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민속지학적 관음주의와 타문화의 현실구성에 대한 연구: <도전! 지구탐험대>를 중심으로” 등이 있다.
저자 :
저자 주형일은 영남대학교 언론정보학과 교수다. 서울대학교 신문학과(언론정보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5대학교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때 사진가로 활동한 경력이 있으며 여러 영상 매체와 사람들의 일상적 문화에 관심을 갖고 연구 중이다. 저서로는 「영상매체와 사회」, 「사진: 매체의 윤리학, 기호의 미학」, 「내가 아는 영상기호분석」, 「이미지를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 문화론의 이해」(공저), 「현대사회와 매스커뮤니케이션」(공저) 등이 있다. 역서로는 「68사상과 현대 프랑스 철학」(공역), 「문화의 세계화」, 「중간예술」, 「소리없는 프로파간다」, 「섬광세계」, 「일상생활의 혁명」, 「미학 안의 불편함」, 「합의의 시대를 평론하다」, 「다시 쓰는 내 인생의 리스트」, 「문화이론사전」(공역) 등이 있다.
저자 :
저자 김수미는 고려대학교 강사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미디어의 소비문화 공간에 대한 재현 양식 연구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미네소타대학에서 “popular feminism 부상의 사회 문화적 함의에 대한 연구”로 매스커뮤니케이션 석사학위를 받고, 글로벌라이제이션 시기의 정체성 구성과 재현의 정치학에 대한 관심을 한국에서의 결혼이주여성들과 관련하여 생산된 다양한 담론들에 대한 분석으로 확장시켜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 연구의 일부분이 정리되어 ≪Feminist Media Studies≫와 ≪Asian Journal of Communication≫에 발표되었다.
저자 이경숙은 고려사이버대학교 미디어홍보영상학과 부교수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에서 언론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류, 디즈니 문화, 이주여성과 미디어 등 지구적 차원의 문화 현상에 대해 관심을 갖고 있다. 「문화연구사전」, 「사회과학방법론」, 「국제커뮤니케이션과 세계화」 등을 공역했고, “혼종적 리얼리티 프로그램에 포섭된 ‘이산인’의 정체성” 등의 연구 논문을 발간했다. 「가족과 미디어」, 「젠더, 이주 & 모바일놀이」, 「텔레비전과 시청자」 저술 발간에 참여했다.
저자 오원환은 고려대학교 언론대학원에서 ‘방송분석과 비평이론’을 맡아 강의한다. 고려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플로리다대학교에서 다큐멘터리 제작으로 매스컴 석사학위를 받았다. 한국에서 독립영화 다큐멘터리 감독으
목차
1부 소수자의 목소리와 문화 연구
1 소수자 미디어 문화 연구의 구성과 궤적ㆍ전규찬
소수자 현실문화 연구의 현재
들뢰즈 철학과 소수자(성)의 문제 설정
문화 연구와 소수자
포스트주의와 소수자 문화 연구의 전 지구화
한국 미디어/문화 연구와 소수자
소수자 문화 연구의 미래, 미디어 문화 연구의 소수적 배치
2 소수자의 목소리를 듣는다는 것의 의미: 다문화주의를 넘어서는 미디어 이론의 필요성ㆍ이희은
‘소수자’의 문제는 소수만의 것이 아니다
다문화주의와 소수자
근대국가의 형성과 소수자에 대한 탄압
소수자, 테크놀로지, 미디어 공간
소수자의 목소리를 ‘듣기’
소수자와 커뮤니케이션의 권리
3 <나쁜 영화>와 ‘나쁜 아이들’, 그리고 ‘돌아온 아이들ㆍ황인성
미디어와 ‘나쁜 아이들’
미디어의 사회적 현실 구성과 담론 연구
<나쁜 영화>와 ‘열려진 영화’, 그리고 텔레비전
<나쁜 영화>의 ‘나쁜 아이들’과 <뉴스 추적>의 ‘돌아온 아이들’
열린 사회를 위한 미디어를 바라며
4 지방민의 삶에 대한 이해: 공간과 장소로서의 지방ㆍ주형일
지방민의 발견
사회적 차별과 집단의식 그리고 탈주
지방과 지방민에 대한 재현
지방민에 대한 이해의 방법
A의 이야기
안에서 본 지방민의 삶
지방민의 재발견
5 대상화와 문제화: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한국 뉴스 보도 연구ㆍ김수미
글로벌라이제이션, 문화, 정체성
결혼을 통한 이주의 증가, 그 사회 문화적 함의
뉴스 보도와 프레임
결혼이주여성에 대한 뉴스보도 방식
결혼이주여성과 정체성 구성: 타자의 재현을 넘어서
2부 소수자성, 미디어 그리고 담론
6 사회적 소수자로서 노인과 미디어 담론ㆍ이경숙
‘노인’에 대해 말하기
소수자 담론과 노인의 위치
연령주의와 노년 담론
미디어의 노년 담론
‘노인’의 사회적 구성
7 탈북자에 대한 미디어의 담론적 구성ㆍ오원환
이데올로기적 배치
탈북자 관련법의 변천과 함의
탈북자 정체성의 담론적 구성
이데올로기적 재배치
8 위태로운 삶, 노동, 그리고 디지털 미디어ㆍ채석진
디지털 시대의 위태로운 삶과 노동
저소득 계층 여성의 삶 연구하기
세 여성들
보이지 않는 사람들
9 다문화 사회와 이주민 미디어: 소수자 공론장으로의 가능성 모색ㆍ정의철
다문화사회 전개와 미디어
이론적 배경: 다문화 사회와 소수자 미디어
참여적 접근과 ‘이주민방송’ 분석
이주민과 소수자 에스닉 미디어
소수자 미디어의 성장과 도전
이주민방송의 의의와 비판적 제언
10 한국 퀴어 미디어의 역사와 발전ㆍ박지훈
한국 퀴어 미디어의 역사
한국 퀴어 미디어의 특징
퀴어 미디어 발전에 미치는 영향력
호모포비아의 영향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