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 책에 실린 여섯 편의 글은 국제결혼을 통해 한국에 오게 된 아시아 여성들의 결혼 이주 과정과 그들이 경험하는 가정폭력, 이주 여성 노동자로서의 삶과 건강, 문화 콘텐츠 분석을 통한 아시아 여성의 재현 방식, 그리고 다문화주의에 대한 철학적 이해 및 문화정책의 논리 등에 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은 다양한 사례와 실태 조사, 심층 면접, 통계 등을 통해 얻은 구체적인 정보를 토대로 한국에 이주해온 아시아 여성들의 현실을 객관적으로 살펴본다.
저자소개
김영옥
숙명여대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아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공동 저서로는『여성주의 리더십: 새로운 길 찾기』,『지구화 시대의 현장 여성주의』,『여성주의 학교 ‘간다’』등이 있고, 역서로는『일방통행로/사유이미지』(공역) 등이 있다. 이외 여성주의 문화이론 및 주체성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김현미
서울대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워싱턴대학교에서 문화인류학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연세대 문화인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글로벌 시대의 문화번역』이 있고, 역서로는『여성·문화·사회』등이 있다.
양민석
이화여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독일 베를린자유대학교에서 문화사회학으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로 일했으며 현재 세종대 교양학부 초빙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동 저서로는『여성주의 리더십: 새로운 길 찾기』,『지구화 시대의 현장 여성주의』,『여성주의 시티즌십의 모색』등이 있고, 논문으로는「문화취향과 이데올로기」,「한국 애니메이션 문화산업의 성별정치학」외 다수가 있다.
윤혜린
이화여대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철학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지구화 시대 여성주의 철학』,『여성 리더십의 공간과 철학』,『초등논술 리더의 철학』,『베란다 정원의 철학』,『여성과 철학』(공저), Globalization and Feminism in Korea (공저) 외 다수가 있으며, 역서로는『여성주의 철학』(공역)이 있다.
정진주
이화여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캐나다 토론토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이화여대 한국여성연구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동 저서로는『여성의 시민적 권리와 사회정책: 여성노동자의 삶의 질을 중심으로』, Globalization, Export-oriented Employment and Social Policy,『직무스트레스의 현대적 이해』등이 있으며, 이외 여성의 일과 건강에 관한 다수의 논문이 있다.
황정미
연세대 사회학과를 졸업하고 서울대 사회학과에서 석사·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아세아문제연구소 HK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공동 저서로는 『한국사회의 다민족·다문화 지향성에 대한 조사연구』,『한국 여성정책의 쟁점과 전망』이 있고, 역서로는『현대사회의 성·사랑·에로티시즘』(공역) 등이 있다.
목차
‘사랑’의 이주?: 국제결혼 베트남 여성의 결혼 이주 과정 _ 김현미
1. 한국과 베트남의 국제결혼 이주 체제
2. 이주 산업으로서 국제결혼 중개업
3. 결혼생활과 친밀성의 위기
4. 맺음말
결혼 이주 여성의 가정폭력 경험: 성별 위계와 문화적 편견 _ 황정미
1. 실태조사 결과에 나타난 결혼 이주 여성 가정폭력 피해
2. 심층 면접에 나타난 결혼 이주 여성의 폭력 피해 경험
3. 이주 여성에 대한 문화적 편견?차별과 가정폭력
4. 맺음말
“아파도 쉴 수 없고 말할 수 없어요”: 이주 여성 노동자의 일과 건강 _ 정진주
1. 정부의 이주 노동자에 대한 고용 정책의 변화
2. 이주 노동자의 성별 분포 현황
3. 이주 여성 노동자의 산업재해 및 건강 보장 조치
4. 이주 여성 노동자를 위한 사회안전망 및 안전보건 관리
5. 맺음말
아시아 여성 재현, 전통과 경계 사이 _ 양민석
1. 아시아 문화 콘텐츠 산업의 현황
2. 국가민족주의는 여성을 어떻게 재현하는가?
3. 여성 문화 콘텐츠에 나타난 문화민족주의
4. 맺음말: 아시아 여성의 ‘숨겨진 서사’를 발굴하는 문화 콘텐츠
내 문화, 당신의 문화를 넘어서 우리의 문화 생성을 위한 철학 _ 윤혜린
1. 문제 의식의 출발 지점
2. 지구화에 대한 기본적 이해
3. 문화적 사이 공간
4. 상대화와 상대주의 사이의 성찰적 공간
5. 맺음말
새로운 ‘시민들’의 등장과 다문화주의 논의 _ 김영옥
1. ‘다문화 가족’ 지원 정책
2. 정치철학적 관점에서 본 다문화주의
3. 다문화주의와 시민권
4. 성별화된 시민권과 여성 결혼 이민자
5. 맺음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