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제3의 자본
- 저자
- 이동원
- 출판사
- 삼성경제연구소
- 출판일
- 2009-11-25
- 등록일
- 2012-02-02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4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사회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무형 자산, 제3의 자본
경제와 사회가 지속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여러 종류의 자본에 대한 투자가 필수이다. 물적 자본과 함께 유능한 전문가와 기술자, 노동력 등 인적 자본이 풍부해야 경제가 성장할 수 있다. 그리고 눈에 보이는 자본 외에도 사회를 구성하는 개인과 기업, 정부 등 사회 주체를 협력적인 관계로 연결하는 제3의 자본, 즉 사회적 자본이 풍부해야만 경제발전과 사회 안정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이란 개인 간의 협력을 촉진함으로써 사회의 생산성을 높여주는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일체의 무형 자산을 말한다. 사회적 자본은 거래 비용을 절감해 물적ㆍ인적 자원의 생산성을 높이며, 구성원 간 신뢰 관계를 구축에 사회 안정에도 기여한다. 이와 같은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에서 불구하고 한국의 낮은 사회적 자본이 경제발전을 저해한다는 주장이 지속적으로 제기된다. 공공부문에 대한 불신과 혈연, 지연, 학연 등 폐쇄적 연고주의로 인해 사회 분열이 심화되고 불필요한 사회적 비용이 발생한다는 것이다.
이 책은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형성, 효과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한국 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상세하게 파악해 신뢰 등 사회적 자본이 빈약한 원인을 평가하고 사회적 자본을 확충할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법 제도와 사회기구 등 공적 제도와 자발적 단체 활동 등 네트워크의 관점에서 신뢰 등 사회적 자본의 확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사회적 자본 측정 모형을 개발하고 지수 측정을 위한 충분한 자료가 존재하는 72개국의 사회적 자본의 수준을 국가별로 추정하였다.
▶ Key Point!
사회가 선진화되기 위해서는 인적ㆍ물적 자본뿐 아니라 신뢰, 규범, 네트워크 등 사회적 관계에서 발생하는, 눈에 보이지 않는 사회적 자본도 함께 증딘되어야 한다. 삼성경제연구소는 이 문제를 깊이 있게 논의할 필요성을 느끼고, 그와 함께 한국의 사회적 자본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이 책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해 한국 사회의 신뢰와 그 형성에 대해, 또 사회적 자본을 어떻게 확충할지 등에 대해 다각적인 연구를 시작한 것을 모아 엮은 것이다.
저자소개
저자
이동원
삼성경제연구소 공공정책실 수석연구원. 공공경제학이 전공이며, 공공선택론, 정부성장론 및 사회적 자본 등에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The Elgar Companion to Public Economics: Empirical Public Economics(공저), 《상생의 경제학》(공저) 등이 있다.
정갑영
연세대학교 상경대학 경제학부 교수.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장, 교무처장, 부총장을 역임하였고, SSCI 등재저널인 Global Economic Review의 에디터를 맡고 있다. 저서로 《산업조직론》, 《열보다 더 큰 아홉》, 《나무 뒤에 숨은 사람》, 《카론의 동전 한 닢》, 《명화 경제 토크》 등 다수가 있다.
박준
삼성경제연구소 공공정책실 수석연구원. “The Political Origin of Employment Protection”으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국가 거버넌스가 경제?사회정책에 미치는 영향 등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상생의 경제학》(공저) 등이 있다.
채승병
삼성경제연구소 경영전략실 복잡계센터 수석연구원. 복잡계 이론의 경제사회시스템 응용을 연구하고 있다. 저서로 《복잡계 개론》(공저), 《이머전트 코퍼레이션(Emergent Corporation)》(공저)이 있다.
한준
연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교수. 경제?조직 사회학, 그 중에서도 사회조직론을 전공하였으며, 복잡계 이론에도 관심을 갖고 있다. 저서로 《한국사회의 권력이동》(공저), 《우리는 마이크로 소사이어티로 간다》(공저), 《상생의 경제학》(공저) 등이 있다.
목차
책을 내며
Introduction 제3의 자본과 선진화의 조건
제Ⅰ부 사회적 자본
1. 사회적 자본이란 무엇인가?
1.1. 신뢰와 사회적 자본
1.2. 사회적 자본의 이중적 특성 : 관계적 자본과 시스템 자본
2. 사회적 자본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2.1. 사회적 상호 작용과 공적 제도
2.2. 사회적 자본의 정책적 육성
3. 사회적 자본의 경제ㆍ사회적 효과
3.1. 사회적 자본의 경제적 효과
3.2. 사회적 자본과 삶의 질
3.3. 사회적 자본과 기업 조직
3.4. 사회적 자본과 민주주의
제Ⅱ부 신뢰가 부족한 한국 사회
4. 공적 제도는 사회적 자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4.1. 한국 사회의 낮은 신뢰 수준
4.2. 공적 제도 붕괴와 불신의 악순환
5. 갈등사회와 사회적 네트워크의 모순
5.1. 한국 사회의 갈등과 분열
5.2. 사회 분열로 사라지는 긍정적 네트워크 효과
제Ⅲ부 사회적 자본의 측정과 정책과제
6. 사회적 자본, 어떻게 측정할 것인가?
6.1. 사회적 자본 측정을 위한 다양한 변수
6.2. 기존 연구의 한계와 포괄적 측정의 필요성
7. 사회적 자본 지수의 개발
7.1. 사회적 자본의 태도적 측면 : 신뢰와 사회규범
7.2. 사회적 자본의 인프라적인 측면 : 네트워크와 사회구조
8. 세계 사회적 자본 지수
8.1. 각국의 사회적 자본 지수 순위
8.2. 사회적 자본 지수와 주요 사회?경제적 지표
9.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7대 과제
9.1. 한국의 사회적 신뢰가 낮은 이유
9.2. 사회적 자본 확충을 위한 정책과제
참고문헌
부록 A. 신뢰의 형성 요인에 대한 분석
부록 B. 사회적 자본 지수의 분석 방법과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