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민주언론, 새로운 도전』은 시간이 흐르고 하는 일과 사람들이 달라졌지만 언론운동단체로서 민언련의 본질은 바뀌지 않았다. 이 책의 목적은 민언련 초기라 할 수 있는 1988년까지의 역사를 통해 언론단체로서의 근본정신을 되짚는 것이다. 아울러 한국사회가 민주화되는 과정에서 민언련을 만든 사람들, 그리고 민언련은 어디쯤에 있었던 것인지도 살펴보려 한다.
저자소개
저자 : 민주언론시민연합
저자 : 민주언론시민연합
저자 민주언론시민연합은 ‘언론권력’을 견제·감시하는 대표 언론시민단체입니다. 1984년 창립 이후 민언련은 지속적인 시민언론운동을 전개하며 언론 민주화를 이끄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해 왔습니다. 민언련은 1984년 12월 군사독재정권의 언론장악과 사주들의 횡포를 온몸으로 겪은 해직 언론인들이 주축이 되어 창립했습니다. 민언련은 1985년 기관지인 ‘민주·민족·민중언론을 향한 디딤돌’ <말>을 창간했습니다. 다음해인 1986년 <말>지를 통해 ‘보도지침’을 폭로했고, 1987년 민주항쟁 이후 ‘세계 최초의 국민주 신문’인 <한겨레> 창간에 앞장섰습니다. 민언련은 1990년대에 들어 시민운동단체로 전환했습니다. 1991년 언론학교와 1992년 대학언론강좌를 열어 시민언론교육을 시작했습니다. 또한, 시민 회원들을 중심으로 ‘신문·방송 모니터모임’을 만들어 직접 언론 보도 감시에 나섰습니다. 민언련은 1992년 ‘선거보도감시연대회의’ 결성부터 지금까지 꾸준하게 선거 보도 모니터 활동을 펼쳐 왔습니다. 선거보도를 비롯해 일상적인 언론 모니터까지 진실보도·공정보도를 촉구하는 언론 감시 활동을 해왔습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공영방송은 정치권력에 장악되었고 종편은 온갖 특혜를 받으며 성장해 여론을 왜곡하고 우리 사회 민주주의를 망치고 있습니다. 민언련은 이에 맞서 왜곡 보도를 감시, 비판하는 활동을 멈추지 않고 있습니다.
목차
발간사 시대와 함께 걸어온 언론운동의 역사를 펴낸다
축사 민언련 30돌에 떠오르는 그리운 얼굴들 김종철
축사 아직도 계속되는 어둡고 긴 터널 신홍범
축사 현대 언론운동의 생생한 언론투쟁사 현이섭
축사 촛불을 일궈낸 언론투쟁사 김승균
1장 유신에 맞선 사람들
저항의 시작, ‘언론자유수호선언’ 무기력한 기자들을 깨우다 / ‘1차 선언’의 사회정치적 배경 / 유신쿠데타와 언론의 암흑기 / ‘국민의 알 권리’ 등장한 ‘2차 선언’
‘언론자유수호’에서 ‘자유언론 실천’으로 긴급조치 1~4호 시대의 언론 / 10?24 ‘자유언론 실천선언’ / 동아일보 광고탄압과 기자 해직 / 조선일보 기자 대량 해직
거리의 언론인, 재야와 만나다 긴급조치 9호 시대, 계속되는 저항 / 민주화운동으로 나아간 언론자유운동 / 제도언론을 대신한 ‘민주민권일지’
2장 80년 광주와 민주언론의 갈망
신군부가 만든 ‘언론운동가’ 유신체제 몰락과 언론자유의 꿈 / 좌절된 ‘서울의 봄’과 기자들의 저항 / 언론대학살과 ‘80년 해직 언론인들’ / 광주항쟁, 언론을 묻다
민주언론운동협의회의 탄생 유화국면과 조직운동의 활성화 / ‘언협’을 만들다 / 새 언론 , 언론민주화 그리고 사회민주화 / 해직기자와 학생운동권의 만남
‘민족?민주??민중언론’의 디딤돌 「말」, 그들이 만들면 다르다 / ‘새 언론’으로 나아가는 디딤돌 / 시대의 진실을 담다 / ‘아랫다방’의 역사
3장 ‘말’ 하라
세상을 뒤흔든 ‘보도지침’ 폭로 권력이 언론에 보낸 비밀통신문 / “우리가 해야 한다” / 보도지침이 불러일으킨 방향
“이 법정의 피고는 내가 아니다” 탄압을 뚫고 맞서다 / 보도지침 법정투쟁 / 민주주의와 언론자유의 강의실이 된 법정
6월 항쟁, 다시 길을 묻다 6월항쟁과 언협 / ‘새 언론’ 창간과 언협의 고민 / 새로운 길
회고 젊고 의롭게 빛나던 그때 그 사람들 임재경
축사 우리는 ‘시민’과 함께 지금의 언론을 바꿀 수 있다 신홍범
축사 한국 언론의 숙제과 된 ‘편집권 독립’ 문제 홍수원
축사 밝혀두고 싶은 두 가지 사실 박우정
축사 순수한 열정으로 이어론 언론운동의 치열한 역사, 민언련 최민희
축사 나의 아버지, 청암 송건호 송준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