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아이 문제행동, 어떻게 고쳐야 할까요?" "아이의 행동 변화에는 아이의 기질과 두뇌 이해가 우선입니다."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발달위원회에서 제안하는 아이의 두뇌 발달과 기질에 맞는 눈높이 훈육법!
어떻게 하면 아이를 잘 키울지, 인성 좋고 똑똑한 아이로 키울 수 있을지, 우리 아이의 문제행동은 어떻게 고쳐야 할지… 아이를 키우는 부모들의 한결같은 고민이다. 까다로운 아이, 예민한 아이, 순한 아이.. 아이의 성향과 기질에 따라 다르게 키워야 한다는 사실도 알고 있겠지만, 막상 실천하기에는 쉽지 않다. 많은 육아서를 참고하고, 좋은 부모가 되겠다고 다짐하면서 나도 모르게 아이에게 화를 내고 뒤돌아서 후회하거나, 맘처럼 되지 않아 답답한 적도 있었을 것이다.
우리 아이를 잘 이해하고, 육아를 좀더 쉽게 할 수는 없을까?
우리나라 소아청소년의 건강을 책임지는 역할을 해온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발달위원회’에서는 부모들의 마음을 공감하고, 양육의 어려움을 덜어주며 훈육법에 대한 도움과 지침을 주기 위해 그동안의 상담 사례들을 담아 이 책을 발간하게 되었다. 출생 후 72개월까지의 아이들을 키우는 부모들이 꼭 알아야 할 훈육법을 여러가지 고민들과 아이의 발달적 특성과 함께 자세히 설명한다. 이 책을 통해 아이의 문제행동을 잘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양육과 관련된 문제들을 현명하고 지혜롭게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아이의 발달 단계와 기질에 맞는 눈높이 훈육은, 부모들의 몸과 마음을 편하게 해주며, 아이들이 평생 좋은 습관을 만들 수 있도록 자연스럽게 방향을 제시하는 길잡이가 될 것이다.
저자소개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는 2018년부터 학술단체를 넘어서 소아청소년의 건강을 책임지는 사회적 리더로서 세상에 기여하고 책임을 다하기 위해 발달위원회를 신설하였다. 소아와 청소년의 건강한 발달을 목표로 최상의 진료, 연구와 교육, 사회적 참여를 지향하며 소아청소년 발달과 관련한 가이드라인 개발, 지침서 출간, 워크숍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추천사들어가는 말PART 1. 총론01. 분노조절을 할 줄 아는 아이의 뇌 기능, 부모가 만든다02. 우뇌 대 우뇌의 공감을 먼저하고 대화로 좌뇌를 잡아주자03. 사회성도 배우고 경험해야 키워진다04. 역할놀이를 통해 정서지능을 키운다05. 타임아웃의 활용06. 꾸중과 체벌에 의존하지 마라07. 감정 기복이 심한 아이의 정서적 반응을 수정하려면08. 아이의 기질에 따른 훈육법09. 말 못하는 아이가 울 때, 잘 달래야 하는 이유PART 2. 0~24개월: 상·하위 뇌 통합의 시기10. 사람 몸에서 떨어지면 심하게 우는 아이11. 모든 일에 격렬한 아이12. 울 때 몸이 시퍼렇게 변하는 아이13. 소변 가리기를 못하는 아이14. 모든 사람의 얼굴을 손으로 할퀴는 아이15. 낮잠을 자지 않으려고 하는 아이16. 낮과 밤이 바뀐 아이17. 심한 장난을 하고 까부는 아이18. 잘 안 먹는 아이19. 혼자 놀지 못하는 아이20. 아이는 자면서도 낮의 기억들을 분류하고 조직화한다PART 3. 25~48개월: 좌·우뇌 통합의 시기21. 자다 깨서 우는 아이, 이것이 약22. 만 3세 우리 아이, 걱정되는 습관 5가지23. 동생이 태어난 뒤, 큰아이가 받는 스트레스24. 아이가 자다가 우는 이유25. 짜증내는 아이, 이유 묻지 말고 ‘공감’부터26. 엄마 말은 안 듣고 제 맘대로 하는 4세 아이27. 부정적 감정 다루기28. 식습관이 좋지 않은 3세 아이29. 자꾸 어지르면서 노는 42개월 아이 30. 밤이 무서운 아이31. 친구를 따라 다니고 말과 행동을 흉내 낸다면32. 아이들이 느끼는 두려움33. 유치원에 가기 싫어한다면34. 손가락 빠는 습관 고치기35. 뒤로 누워 떼쓰는 아이PART 4. 49~72개월: 자아 통합의 시기36. 신경질만 나면 욕설을 한다면37. 집중을 잘 하지 못한다면38. 형제끼리 자주 싸운다면39. 툭하면 친구와 싸운다면40. 괴롭힘을 당한다면41. 나이가 많거나 적은 아이하고만 놀려고 한다면42. 느리고 여리다면43. 지나치게 수줍어한다면 44. 선생님의 말을 잘 듣지 않는다면 45. 컴퓨터 게임에 푹 빠져 있다면46. 하기 싫은 과제를 끝까지 미루기만 한다면47. 유치원에 가는 것을 두려워 한다면 48. 밤에 일어나 비명을 지르고 땀을 뻘뻘 흘린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