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붓다의 신화
- 저자
- 동명 저
- 출판사
- 불광출판사
- 출판일
- 2025-06-01
- 등록일
- 2025-08-01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42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신화 속 붓다가 들려주는 내 인생의 ‘영웅’이 되는 법!불안과 고통으로 얼룩진 인생 속에서매 순간 나의 중심을 잡아 줄 버팀목 같은 이야기‘신화(神話)’라는 단어를 보면 무엇이 떠오르는가? 전지전능한 신들과 위험천만한 괴물들, 온갖 시련 끝에 이들을 무찌르고 영광을 차지한 위대한 영웅들? 혹은 이를 모티브 삼아 만든 히어로 영화를 떠올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무엇이든, 우리는 살면서 한 번쯤 신화를 접하게 된다. 우리가 신화를 탐독하는 이유는 재미있기 때문이다. 초현실적이고 비현실적인 세상에서 벌어지는 신비로운 사건들이 상상력을 자극하는 한편, 현실에서는 맛볼 수 없는 짜릿함과 통쾌함에서 작은 위안과 대리만족을 얻기도 한다. 그러나 신화의 가치는 이게 다가 아니다. 유사 이래 가장 오래, 또 가장 많이 소비된 콘텐츠를 꼽으라면 단연 신화일 것이다. 이는 단지 신화가 흥미로운 이야깃거리라서가 아니라, 그 안에 시대와 지역과 인종을 뛰어넘는 보편적인 삶의 지혜가 깃들어 있기 때문이다. 곧 신화는 인생에 대한 가장 풍부한 우화이자 가장 오래된 고전이다.『붓다의 신화』는 이러한 ‘신화’를 재료 삼아 붓다의 삶과 가르침을 톺아보는 책으로, 신적인 존재로 묘사되는 붓다의 신이한 행적에 담긴 본질을 파헤친다. 한마디로 그것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다. 『붓다의 신화』는 복잡하고 불안정한 인생을 살아내는 힘을 길러 준다. 바깥의 소음에 사로잡히지 않으면서, 언제 어디서든 자기중심을 잡고 살아가는 방법이 모두 이 신화에 담겨 있다. 이 책은 그 핵심으로 가는 나침반이 되어 우리를 그곳으로 이끌어 줄 것이다.
저자소개
시인, 조계종 교육아사리. 1989년 계간 『문학과사회』를 통해 시인으로 등단하고, 1994년 「세계일보」 신춘문예 문학평론 부문에 당선하여 시인이자 문학평론가로 20여 년간 활동했다. 2010년 지홍 스님을 은사로 출가하여 해인사에서 사미계를 받았으며, 2015년 중앙승가대를 졸업한 후 구족계를 받았다. 북한산 중흥사 총무, 중앙승가대 수행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광명시 금강정사에서 총무 소임을 맡고 있다. 출가 전에 『해가 지지 않는 쟁기질』 『미리 이별을 노래하다』 『나무 물고기』 『고시원은 괜찮아요』 『벼랑 위의 사랑』 등의 시집과 기행 산문 『인도 신화 기행』 『나는 인도에서 붓다를 만났다』 등을 펴냈으며, 출가 후에 선시 수상집 『조용히 솔바람 소리를 듣는 것』을 펴냈다. 1994년 제13회 김수영문학상을 수상했으며, 2022년 제13회 대원불교문화상을 수상했다.
목차
ㆍ들어가며제1부 붓다, 지난한 고뇌의 시간01. 다음 생애를 스스로 선택하다02. 어머니 뱃속에 들어가는 방법03. 붓다는 왜 길에서 태어났을까04. 마야부인의 죽음05. 붓다는 잘생긴 꽃미남이었을까06. 아기 붓다의 미래에 대한 예언07. 삶의 현장이 곧 선정의 공간이다08. 활쏘기 대회에서 승리하고 태자비를 맞이하다09. 사문유관과 출가10. 길 떠남은 영웅 탄생의 출발이다제2부 붓다, 기나긴 도전과 모험의 길11. 수행자는 안주()하지 않는다12. 조력자와 방해자 사이의 거리13. 수행자는 작은 성취에 만족하지 않는다14. 적절한 고행은 감수하자15. 깨달음을 위한 목욕, 성스러운 한 끼제3부 붓다, 인류 역사상 가장 위대한 영웅16. 보드가야에서 괴력의 마왕을 물리치다17. 브라흐마의 권청18. 우리는 서로 이어져 있다19. 재벌 2세, 출가하다20. 깟사빠 삼 형제의 귀의21. 붓다는 왜 신통()을 보였을까22. 코로나를 물리친 붓다23. 붓다 시대의 부동산 스캔들24. 연쇄 살인범도 구원받을 수 있을까25. 영원한 아름다움으로 향하는 길26. 목숨 걸고 보시하는 이는 행복하다27. 붓다를 죽이려 한 무모한 사나이28. 자기 이익도 못 챙기는 바보 이기주의자29. 붓다의 마지막 제자, 수밧다ㆍ나오며ㆍ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