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남들은 모르는 미술전공 이론 3』 은 미대 입시와 교원 임용을 위한 교양 도서로, 동서양 미술사와 미학사, 미술 교육론, 매체별 표현의 종류와 특징을 알차게 수록했다. 제3권 미술 교육론·미학·표현에서는 3권에서는 고대 아테네부터 현재까지의 미술 교육론을 정리했으며, 09개정 및 15개정 교육과정과 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지도안을 함께 수록해 활용도를 높였다. 이와 함께 미술 감상과 비평, 미학, 표현 파트 역시 3권에 수록했다. 꼼꼼한 개념 정리, 꼭 필요한 보충 설명, 질문을 통해 사고를 키우는 “생각해 보기” 란에 더해 QR코드를 활용한 동영상 자료를 수록했으며, 현직 미술 교사와 대학 교수의 검수를 통해 신뢰도를 높였다. 특히 중요한 부분에는 밑줄을 긋고, 기출 관련 내용에는 별표를 달아 한눈에 쏙쏙 들어오게 구성했다.
목차
Ⅰ. 서양 미술 교육론의 전개01. 서양 미술 교육의 기원1. 미술에서 미술 교육으로의 변화2. 고대 아테네의 미술 교육3. 중세 유럽의 미술 교육4. 르네상스 시기 유럽의 미술 교육5. 절대 왕정의 이데올로기를 반영한 프랑스의 예술원 교육6. 18세기 근대 미술 교육의 시작02. 산업 혁명기의 미술 교육1. 19세기 급변하는 유럽 사회2. 표현 기능 중심 미술 교육의 초기 전개3. 표현 기능 중심 미술 교육의 발전과 분화4. 독일에서의 표현 기능 중심 미술 교육의 전개5. 독일 바우하우스(BauHaus)의 등장6. 표현 기능 중심 미술 교육의 2가지 측면03. 진보주의의 등장과 미술 교육1. 1900년대를 전후한 진보주의 운동의 흐름2. 창의성 중심 미술 교육3. 창의성 중심 미술 교육의 2가지 측면4. 경제 대공황기 사회 재건주의와 미술 교육5. 오와토나 프로젝트(Owatonna Project)04. 지식의 전수, 이해 중심 미술 교육1. 2차 세계 대전 이후 민주주의 국가의 교육 방침 변화2. 학문 중심 미술 교육(DBAE)의 등장3. 초기 학문 중심 미술 교육의 주요 교육자4. 학문 중심 미술 교육의 전개5. 학문 중심 미술 교육의 2가지 측면6. NEO-DBAE7. 하버드 프로젝트 제로(Project Zero)05. 다문화 미술 교육과 포스트모더니즘1. 1990년대 이후 다문화 교육의 필요성 대두2. 다문화 미술 교육의 등장3. 다문화 미술 교육에 대한 교육자들의 견해4. 다문화 미술 교육의 시사점06. 시각 문화 미술 교육(VCAE)1. 시각 문화와 시각적 문해력2. 정보화 시대의 도래와 포스트모더니즘 담론3. 시각 문화 미술 교육의 등장4. 시각 문화 미술 교육에 대한 교육자들의 견해5. 시각 문화 미술 교육의 시사점07. 현재 미술 교육의 흐름1. 인문학과 미술 교육2. 융합 교육과 미술 교육3. 커뮤니티 중심의 미술 교육(CBAE)4. 문화 탐구 기반 미술 교육Ⅱ. 감상 교육과 미술 비평론01. 감상과 비평 교육1. 감상과 비평 교육의 의미와 목적2. 감상과 비평 교육의 등장 배경3. 예술 작품의 존재 구조와 수용 미학4. 감상과 비평 교육의 발전과 학자별 견해5. 미술 비평의 준거가 되는 비평 유형과 감상 교육 구조02. 박물관·미술관 교육1. 정의와 기능2. 운영3. 발전과 역할4. 전시5. 교육 내용6. 박물관·미술관과 연계한 학교 미술 교육03. 아동의 미적 발달 단계의 이해1. 아동의 성장과 발달 단계2. 아동 미술을 보는 4가지 관점3. 아동 미술 표현 능력의 발달4. 아동 미적 인식 능력의 발달Ⅲ. 미술과 교육과정01.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과 정의02. 교육과정의 편제(15개정 기준)03. 미술과 09개정 교육과정04. 미술과 15개정 교육과정05. 미술과 교수·학습 지도의 현장 적용1. 미술과에서의 교수·학습2. 교수·학습 과정의 일반적 단계3. 실제 수업을 위해서 고려해야 할 점4. 미술과 교수·학습 지도안의 제작5. 교과서에서 수업 콘텐츠 발굴하기Ⅳ. 동서양의 미학01. 미술(美術)과 미(美)에 대한 논의1. 미술의 범위2. 미의 개념3. 미와 미술을 바라보는 몇 가지 분류4. 미술 교육02. 서양 미학의 역사1. 고대 그리스와 로마의 미학2. 중세 시기의 미학3. 르네상스 시기의 미학4. 근대 미학03. 모더니즘 미학의 전개1. 20세기 전환기로의 미적 인식2. 기호학적 관점의 예술3. 현상학적 관점의 예술4. 비판적 관점의 예술5. 기술 복제와 가상 실재6. 작가와 정체성04. 미(美)에 대한 동서양의 차1. 동서양 미와 예술 구분05. 동양 미학의 전개1. 중국의 미와 화론2. 한국의 미학Ⅴ. 표현01. 조형 요소와 원리1. 조형 요소2. 조형 원리02. 드로잉과 드로잉 재료1. 소묘의 개념2. 드로잉 재료03. 회화 표현의 방법1. 안료와 용구2. 수채화(Water Color)3. 구아슈(Gouache)4. 템페라(Tempera)5. 유화(Oil Color)6. 아크릴화(Acrylic Color)7. 한국화와 용구04. 판화의 이해1. 판화의 기초2. 볼록판화(Relief)3. 오목판화(Intaglio)4. 평판화(Planography)5. 공판화(Stencil)6. 디지털 프린트와 현대 판화의 새로운 정의05. 조소의 이해1. 조소의 기초2. 조각의 기초3. 소조의 기초06. 사진과 만화, 영상의 발전1. 사진2. 만화3. 영상, 그래픽과 애니메이션07. 색채의 이해1. 색채 지각의 원리2. 색의 체계3. 색채 감각과 역사4. 색의 조화와 감정 효과5. 한국의 전통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