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소개
저자 :
저자 한자경은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와 동 대학교 대학원을 졸업하고 독일 프라이부르크 대학에서 박사학위(칸트철학 전공)를 받았으며,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철학으로 박사학위(유식불교 전공)를 받았다. 계명대학교 철학과를 거쳐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칸트와 초월철학』, 『자아의 탐색』, 『자아의 연구』, 『유식무경』, 『동서양의 인간이해』, 『일심의 철학』, 『불교철학의 전개』, 『칸트 철학에의 초대』, 『불교의 무아론』, 『21자(字)의 여정』, 『명상의 철학적 기초』, 『한국철학의 맥』, 『헤겔 정신현상학의 이해』, 『불교철학과 현대윤리의 만남』 등이 있다.
목차
『대승기신론 강해』에 앞서 - 4
해제: 『대승기신론』의 세계
1. 『대승기신론』은 어떤 책인가? - 20
2. 『대승기신론』 사상의 불교사적 의미 - 22
1) 초기불교의 ‘무아(無我)’ - 22
2) 부파불교 설일체유부의 ‘아공(我空) 법유(法有)’ - 23
3) 대승불교 중관의 ‘법공(法空)’ - 25
4) 대승불교 유식의 ‘유심(唯心)’ - 26
5) 대승불교 기신론의 ‘일심(一心)’ - 28
3. 『대승기신론』이 제시하는 대승의 존재론 - 30
4. 『대승기신론』이 제시하는 대승의 수행론 - 39
5. 『대승기신론』의 전체 구조 - 44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서분序分
귀경게(歸敬偈) - 49
1. 불보(佛寶) - 50
2. 법보(法寶) - 52
3. 승보(僧寶) - 53
정종분正宗分
I. 인연분(因緣分) - 60
1. 기신론 저술의 동기 - 60
2. 기신론의 특징 - 69
II. 입의분(立義分) - 74
1. 입법장(立法章) - 75
2. 입의장(立義章) - 78
III. 해석분(解釋分) - 83
III-1. 현시정의(顯示正義) - 85
1. 심진여문(心眞如門) - 93
1) 이언진여(離言眞如) - 93
(1) 진여의 체 - 94
(2) ‘진여’라는 이름 - 97
2) 의언진여(依言眞如) - 101
(1) 공(空) - 103
(2) 불공(不空) - 106
2. 생멸심의 각(覺)과 불각(不覺) - 108
1) 아뢰야식의 양면: 각과 불각 - 108
2) 각(覺) - 119
(1) 시각(始覺) - 119
(2) 본각(本覺) - 139
3) 불각(不覺) - 152
(1) 불각(不覺)의 3세상(細相) - 154
(2) 불각(不覺)의 6추상(??相) - 158
4) 각(覺)과 불각(不覺)의 관계 - 165
3. 생멸의 인연(因緣) - 170
1) 의(意)와 의식(意識)으로의 전변(轉變) - 170
(1) 다섯 가지 의(意) - 170
(2) 삼계유심(三界唯心) - 181
(3) 의식(意識) - 185
2) 생멸의 인연 - 190
(1) 인연의 깊은 의미 - 190
(2) 여섯 가지 염심(染心) - 195
(3) 상응(相應)과 불상응(不相應) - 202
(4) 무명(無明)과 염심(染心) - 204
3) 생멸상(生滅相) - 208
(1) 생멸상의 차이 - 208
(2) 생멸상의 인과 연 - 211
(3) 심체(心體)과 심상(心相) - 213
4. 염정훈습(染淨熏習) - 218
1) 훈습의 4법 - 218
2) 염법훈습(染法熏習) - 224
(1) 세 가지 염법훈습 - 224
(2) 각 염법훈습의 두 단계 - 229
3) 정법훈습(淨法熏習) - 234
(1) 두 가지 정법훈습 - 235
(2) 각 정법훈습의 두 단계 - 241
5. 삼대(三大) - 260
1) 체대(體大) - 260
2) 상대(相大) - 261
3) 용대(用大) - 269
(1) 진여(眞如)의 작용 - 269
(2) 진여(眞如)의 두 가지 용(用) - 274
(3) 진여(眞如) 현시(顯示)의 단계 - 281
(4) 색(色)과 심(心)의 관계 - 285
(5) 생멸문(生滅門)에서 진여문(眞如門)으로 - 287
III-2. 대치사집(對治邪執) - 291
1. 인아견(人我見)에 의한 범부의 사집(邪執) - 292
1) 인아견(人我見) 1: 허공이 곧 여래성이다. - 293
2) 인아견(人我見) 2: 진여 열반이 곧 공이다. - 299
3) 인아견(人我見) 3: 여래장에 색(色)?심(心)이 따로 있다. - 301
4) 인아견(人我見) 4: 여래장에 세간 생사법이 포함된다. - 302
5) 인아견(人我見) 5: 중생에 시작이 있고, 열반에 끝이 있다. - 305
2. 법아견(法我見)에 의한 이승(二乘)의 사집 - 307
III-3. 분별발취도상(分別發趣道相) - 312
1. 신성취발심(信成就發心) - 314
1) 신성취발심의 길 - 314
2) 신성취발심과 수행방편 - 321
3) 신성취발심의 공덕 - 328
2. 해행발심(解行發心) - 333
3. 증발심(證發心) - 336
1) 증발심의 지위(地位)와 경계(境界) - 336
2) 증발심의 공덕(功德) - 339
IV.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 349
1. 4신심(信心)과 5수행(修行) - 350
1) 네 가지 믿음 - 350
2) 수행의 5문(門) - 353
(1) 시문(施門) - 354
(2) 계문(戒門) - 356
(3) 인문(忍門) - 358
(4) 진문(進門) - 360
(5) 지관문(止觀門) - 363
2. 지관의 수행 - 367
1) 지(止) - 367
(1) 9심주(心住) - 367
(2) 삼매(三昧)의 수승한 능력 - 374
(3) 삼매에서 만나게 되는 마구니 - 375
(4) 외도(外道)의 삼매와 진여삼매의 차이 - 383
(5) 지의 수행으로부터 얻는 이익 - 385
2) 관(觀) - 388
(1) 법상관(法相觀) - 389
(2) 자비관(慈悲觀) - 391
(3) 서원관(誓願觀) - 393
(4) 정진관(精進觀) - 393
3) 지관(止觀) 병행의 필요성 - 394
3. 염불(念佛) 수행 - 399
V.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 402
1. 바른 믿음의 이익 - 403
1) 문혜(聞慧) - 404
2) 사혜(思慧) - 404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