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미리보기
커뮤니케이션 핵심 이론
- 저자
- 정인숙,오미영 공저
- 출판사
- 커뮤니케이션북스
- 출판일
- 2023-06-20
- 등록일
- 2025-01-31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20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2005년 첫 출판 후 18년 만에 나온 개정판이다. 한국적 현실과 접목시켜 커뮤니케이션학에 처음 입문하는 학부생이나 일반인들이 비교적 쉽게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공부할 수 있도록 쓴 책이다. 책은 국내 학문 풍토에서 상대적으로 매스 커뮤니케이션 영역에 비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는 인간 커뮤니케이션 영역을 비중 있게 다룬다. 제1부는 인간에게 커뮤니케이션이 무엇이며 왜 중요한가,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이 어떻게 이뤄지며 그 속에 담긴 의미는 무엇인가에 대한 폭넓은 사고를 유도하고자 하며, 제2부는 커뮤니케이션의 발생 범위를 보다 확대시켜, 대중매체가 매개가 되어 일어나는 커뮤니케이션의 과정과 개념을 이해하게 하는 주요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을 소개한다. 오래된 사례는 대부분 삭제하거나 새로운 사례로 교체했다.
저자소개
한국외국어대학교 신문방송학과를 거쳐 고려대학교와 한국외국어대에서 석사 및 박사학위를 받았다. 방송위원회와 청운대학교 방송영상산업학과에 재직하였으며, 한국여성커뮤니케이션학회 회장, 한국방송학회 부회장, 한국언론학회,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이사를 역임하였다. 현재 가천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저서로는 『새로운 방송론』(2017, 공저), 『뉴미디어 뉴커뮤니케이션』(2014, 공저), 『현대매스미디어의 이해』(2004, 공저), 『방송산업과 정책의 이해』(2002)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코로나19가 국내 영화 VOD 공급구조에 가져온 변화와 함의 : 홀드백 구조 변화와 갈등이슈를 중심으로”(2021), “글로벌 OTT의 확산에 따른 미래 예측과 정책 대응”(2020), “방송정책의 ‘사회적 가치’ 구현에 대한 평가”(2019), “방송법 개정 역사를 통해 살펴본 ‘방송정책수단’의 변화와 함의분석”(2018) 등이 있다.
목차
개정판 서문초판 서문1부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이해1장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와 개념커뮤니케이션의 의미 - 인간의 중요한 활동커뮤니케이션이란 무엇인가? - “커뮤니케이션은 ‘과정’이다”커뮤니케이션의 요소 - 송수신자, 메시지, 채널, 피드백, 잡음, 세팅커뮤니케이션의 어려움 - 해석의 필요성과 오해의 발생2장 커뮤니케이션의 유형과 특성자아(혹은 자기 내) 커뮤니케이션(Intrapersonal Communication)대인 커뮤니케이션(Interpersonal Communication)소집단 커뮤니케이션(Small-Group Communication)조직 커뮤니케이션과 공중 커뮤니케이션매스 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3장 커뮤니케이션의 발전과 미디어언어의 기원사회 발전과 커뮤니케이션 미디어의 등장4장 자아와 커뮤니케이션자아개념(self-concept)자아개념의 강화자아의 사회적 구성자아표현 - 고프만 이론자아노출(self-disclosure)성(性)과 자아의 사회적 구성5장 인간관계와 커뮤니케이션자아와 인간관계인간관계의 핵심, 대인커뮤니케이션인간관계의 발전 과정인간관계를 설명하는 이론들-불확실성 감소 이론, 사회적 침투 이론, 변증법적 관계 이론인터넷 미디어와 인간관계6장 언어와 커뮤니케이션언어의 중요성언어란 무엇인가?기호학과 커뮤니케이션언어 커뮤니케이션의 특성7장 비언어와 커뮤니케이션비언어란 무엇인가?8장 설득과 커뮤니케이션설득이란 무엇인가?설득의 요소9장 커뮤니케이션 능력능력의 개념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상황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듣기커뮤니케이션 능력과 문화 차이2부 매스 커뮤니케이션 이론10장 미디어 결정론미디어 결정론의 개요헤롤드 이니스(1894~1952)의 미디어관시간구속적 미디어와 공간구속적 미디어커뮤니케이션의 편중마셜 매클루언(1911~1980)의 미디어관매체는 메시지다핫미디어와 쿨미디어구텐베르크 시대와 지구촌매클루언에 대한 비판미디어와 세대 차이디지털 시대의 미디어 결정론―테크노폴리미디어 결정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11장 이용과 충족 이론이용과 충족 이론의 개념과 전제이론의 등장 배경―능동적 수용자론욕구, 동기, 모티베이션미디어 이용과 충족이용과 충족 이론의 장단점이용과 충족 이론 연구의 방향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12장 미디어 의존 이론미디어 의존 이론의 등장 배경과 개념미디어 의존 이론의 구성요소개인의 생활양식과 미디어 의존미디어 의존 이론의 장단점이용과 충족 이론과의 유사성미디어 의존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13장 의제설정 이론의제설정기능의 개념과 등장 배경의제설정 이론의 주요 개념과 측정의제설정의 원인과 시간 지체의제설정의 효과와 측정의제설정에 영향을 미치는 중개변인광의의 의제설정 과정2단계 의제설정-속성 의제설정의제설정 이론의 가치와 평가의제설정 이론의 응용 분야의제설정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14장 배양 이론배양 이론의 개념과 전제미디어의 배양 효과에 대한 연구 과정과 배경거브너의 폭력 효과 연구배양 효과 이론에 대한 비판과 논란배양 효과에 대한 다양한 연구폭력물의 효과에 대한 기타 이론배양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15장 문화연구문화연구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문화연구의 이론적 전통스튜어트 홀의 문화연구막강한 이데올로기적 도구로서의 미디어문화연구에 대한 비판문화연구를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16장 침묵의 나선 이론과 제3자 효과침묵의 나선 이론의 개요와 등장 배경제6의 감각기관침묵의 이유-고립의 두려움침묵의 나선 과정과 매스컴의 역할침묵의 나선 이론의 장단점제3자 효과 이론(또는 제1자 효과)침묵의 나선 이론과 제3자 효과 이론에 대한 국내 연구 사례17장 틀짓기 이론과 점화 효과 이론틀짓기 효과의 주요 내용과 등장 배경미디어 틀짓기의 의미와 중요성미디어 틀짓기의 유형과 영향 요인점화 효과의 개념매스 미디어의 점화 효과틀짓기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18장 뉴미디어의 이용과 채택 이론뉴미디어 이용과 채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개혁 확산 이론(Innovation Diffusion Theory)채택의 속도와 시기기술수용모형(TAM: Technology Acceptance Model)뉴미디어의 인지된 속성경로의존 이론(Path Dependency Theory)뉴미디어 채택 요인에 대한 국내 연구 사례19장 정보격차 이론정보격차와 디지털 디바이드지식격차가설(Knowledge Gap Hypothesis)지식격차가설의 사회적 의미인터넷 시대의 정보격차 결정요인디제라티와 디지털 함정정보격차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20장 행위자-네트워크 이론(ANT)네트워크 사회의 개념과 특징네트워크 분석행위자-네트워크 이론(Actor-Network Theory : ANT)과잉연결시대의 커뮤니케이션 패턴네트워크 분석 이론을 적용한 국내 연구 사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