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장자와 불법은 일면 구조적으로 유사한 구도를 지니고 있다. 불법이 ‘부처의 눈(佛知見)’을 지향한다면 장자는 ‘하늘의 눈(照之于天)’을 권한다. 장자를 통해 선불교를 만나고, 선불교에 매료되어 여러 조사의 다양한 어록들을 보며 공부하다가 불법을 본격적으로 공부하기 시작한 저자가 불교 철학과 장자 철학을 엮어 철학적 논의를 진행하며 사유의 유사성을 살펴본다.저자는 붓다 깨달음의 핵심인 연기법, 사성제, 팔정도에서부터, 붓다 입멸 후 부파불교의 설일체유부의 교리와 나가르주나(용수)의 ‘공(空) 사상’, 나가르주나 이후 와스반두(세친)의 ‘유식(唯識) 사상’ 등 불교 철학의 역사에서 중요한 사상들을 빠짐없이 다루고 있다. 저자는 아함경, 증일아함경, 중아함경, 잡아함경 등의 초기 경전에서부터 유마경, 대반야바라밀다경, 화엄경, 법화경, 대반열반경, 열반경, 능가경, 원각경, 해심밀경, 금강경 등의 불교의 핵심 경전 및 대지도론, 중론, 성유식론, 대승기신론, 육조단경, 전심법요, 임제록, 섭대승론, 전등록 등의 논서와 중요한 불서들을 꼼꼼히 읽어내고, 담긴 뜻을 체득하면서 자연스럽게 그것이 장자 철학과 일맥상통하는 지점에 이르게 된다.장자 철학에 더해 불교 철학까지 공부한 저자는 도대체 마음공부의 공효는 어디에 있는가라고 스스로 묻는다. 그리고 그 질문에 스스로 아무리 마음공부를 해도 인생의 역경과 불행을 피할 수 없지만, 저 험한 파도가 몰아치는 삶의 바다에서 서핑보드를 하나 마련하는 것이 아닐까 하고 답한다. 기왕 만날 파도를 즐겁게 타며, 길을 배우는 것, 저자는 그 배움의 길은 우리 마음의 실상을 회복하는 길이며, 그 공부로 도달하는 마음의 경지는 곧 번뇌에서 벗어난다는 붓다의 ‘열반’이며, 장자가 권하는 ‘얽힌 채로 편안하다’는 영녕이자, ‘한가로이 노니는’ 소요유일 것이라고 말한다.
저자소개
서울에서 중고교를 마치고 서울대학교 국어교육과를 졸업했다. 성균관대학교 유학과에서 「주자학의 형이상학적 특질에 대한 연구」로 석사학위를, 한국학중앙연구원에서 「장자의 해체적 사유」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에 대학을 다녔다. 복잡한 시대에 청춘을 보내고 스스로에게 꽃 시절이 없었다고 한탄하다가 늦은 나이에 공부를 시작했다. 그리고 드디어 장자와 불법을 만나면서 고뇌로 가득했던 머릿속이 정리되기 시작했고, 나이를 먹으면서 마음이 편편해지기 시작했다. 장자의 덕을 많이 보아서 그에게 감사하는 마음을 갖고 있다. 그리고 죽을 때까지 공부할 수 있는 불경들이 산맥처럼 버티고 있는 것에 환희심을 느끼고 있다가, 불현듯 자리 잡고 앉아 5년 동안 불경과 논서 대장정(大長程)을 하면서 여러 선지식과 대면하는 시간을 가졌다. 앞으로 전개될 삶의 인연사를 여유롭고 흥미로운 시선으로 기다리고 있다. 저서로 『한국의 사상』, 『장자, 위대한 우화』, 『장자, 제자백가를 소요하다』, 『장자, 고뇌하는 인간과 대면하다』, 『장자, 나를 해체하고 세상을 해체하다』가 있고, 역서로 『동양삼국의 주자학』, 『죽림칠현과 위진명사』가 있다.
목차
들어가는 말
1장 존재의 굴레
1. 실존, 그래고 존재의 성찰
2. 업의 두루마리가 펼쳐지다
3. 굴레에서 벗어나기, 붕새의 비행
2장 반야지를 찾아서
1. 선지식, 붓다, 그리고 장자
2. 큰 사랑, 큰 연민
3장 부처지견(佛知見)
1. 부처의 눈: 하늘의 눈
2. 방편: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
4장 화엄의 세계
1. ‘부처의 눈’에 비친 세계의 실상
2. 여래 출현: 여래 성기(性起)
3. 중생 법신(法身): ‘나’도 부처 ‘너’도 부처
5장 연기법(緣起法)
1. 고독한 수행자, 고타마 싯다르타 성도하다
2. 12연기(緣起)
3. 사성제(四聖諦)와 팔정도(八正道)
6장 공(空) 사상 (1)
1. 붓다의 입멸, 그리고 새로운 논쟁
2. 부파불교, 그리고 대승불교의 흥기
3. 설일체유부(說一切有部)
7장 공(空) 사상 (2)
1. 나가르주나(용수)
2. 중론
3. 공성(空性): 필경공
4. 이제설(二諦說): 세속제와 승의제
5. 언어도단, 그리고 다시 언어
8장 유식(唯識) 사상 (1)
1. 나가르주나 이후, 새로운 논쟁
2. 세친(와수반두)
3. 근본불교에서 ‘마음’의 문제
4. 근본불교에서 ‘세계’의 문제
5. 유식무경(唯識無境)
9장 유식(唯識) 사상 (2)
1. 알라야식 연기설: 심식설(心識說)
2. 제7 말나식: 사량하는 마음
3. 제6식: 인식을 주도하는 마음
10장 유식(唯識) 사상 (3)
1. 존재의 세 가지 양식과 그 무자성(無自性): 삼성설과 삼무성설
2. 전의설(轉依說): 전식득지(轉識得智)를 통한 자기 변혁
3. 반야지: 네 가지 지혜
11장 자신의 등불을 밝히고 법의 등불을 밝혀라
1. 상락아정(常樂我淨)의 반야지를 향하여
2. 빛과 그림자: 공덕녀와 흑암녀
3. 자등명 법등명(自燈明 法燈明)
4. 보살의 길(菩薩道)
후기 ? 우리 삶을 영화 보듯 할 수 있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