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번 개정판도 지난 개정판들과 마찬가지로 거시경제학에 있어 새로운 변화에 관한 내용을 담기 위해 노력했다. 이번 개정판에서 가장 큰 변화는 제6장에서 개방경제의 거시경제정책 분석을 위해 IS-LM-BP 모형 대신 IS-LM-FX 모형을 소개한다는 점이다. 이 모형은 대부분의 국가가 자유로운 국제자본이동을 허용하고 있는 현실에서는 보다 간단하고 적용하기가 쉽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이 외에 코비드-19 전염병에 따른 경기침체의 분석, 실리콘밸리은행의 파산 사례, 인플레이션을 막기위한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등 제6판 발간 이후 발생한 현실 사례에 대한 분석이 더 추가되었다.
목차
part 1 거시경제학의 기초Chapter 01 거시경제학이란?1. 거시경제학과 미시경제학………………………………………………… 42. 거시경제학의 연구과제…………………………………………………… 63. 거시경제학의 관점………………………………………………………… 164. 거시경제학의 발전………………………………………………………… 21Chapter 02 국민경제의 구조와 측정1. 거시경제모형의 4부문… ………………………………………………… 292. 국민경제의 순환모형……………………………………………………… 323. 국내총생산… ……………………………………………………………… 364. 여러 가지 국민소득의 개념… …………………………………………… 445. 국민소득계정과 항등식…………………………………………………… 486. 물가의 측정………………………………………………………………… 537. 실업의 정의와 측정………………………………………………………… 55부록A. 연쇄가중법과 고정가중법…………………………………………… 60부록B. 라스파이레스식과 소비자물가지수………………………………… 61part 2 국민소득의 결정Chapter 03 국민소득의 결정1. 단순모형과 승수이론……………………………………………………… 702. IS 곡선 - 생산물시장의 균형조건… …………………………………… 873. LM곡선 - 화폐시장의 균형조건………………………………………… 914.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균형……………………………………… 98Chapter 04 IS -LM 모형과 거시경제정책1. 재정정책… ……………………………………………………………… 1062. 통화정책… ……………………………………………………………… 1113. 정책결합… ……………………………………………………………… 1134. 인플레이션 기대와 IS -LM 분석……………………………………… 1165. IS-MP 모형……………………………………………………………… 123Chapter 05 경제개방과 거시경제1. 경제개방과 국민경제의 측정…………………………………………… 1322. 개방경제에서의 생산물시장의 균형…………………………………… 1403. 지출조정정책과 지출전환정책………………………………………… 1454. 구매력평가와 실질환율………………………………………………… 148Chapter 06 국제자본이동과 거시경제1. 자본자유화와 국제자본이동성………………………………………… 1582. 이자율평가… …………………………………………………………… 1623. 외환시장과 화폐시장…………………………………………………… 1644. 개방경제와 거시경제정책……………………………………………… 1685. 자본자유화와 외환위기………………………………………………… 1796. 금융글로벌화와 뉴 트리핀 딜레마… ………………………………… 186part 3 국민소득과 물가Chapter 07 총수요-총공급 모형1. 일반균형모형의 필요성………………………………………………… 1982. 총수요곡선… …………………………………………………………… 1993. 총공급곡선… …………………………………………………………… 2034. 노동시장의 이해………………………………………………………… 2065. 총공급곡선의 도출……………………………………………………… 2116. 경제의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218부록A. 노동공급곡선의 도출……………………………………………… 227부록B. 고전학파 모형……………………………………………………… 229Chapter 08 총공급곡선의 이해1. 단기총공급곡선… ……………………………………………………… 2422. 기대형성과 총공급곡선………………………………………………… 253Chapter 09 실업1. 실업의 종류……………………………………………………………… 2632. 자연실업률… …………………………………………………………… 2673. 실업과 경기변동………………………………………………………… 2704. 비자발적 실업…………………………………………………………… 2765. 유럽의 동맥경화증……………………………………………………… 286Chapter 10 인플레이션과 물가안정정책1. 인플레이션… …………………………………………………………… 2912. 인플레이션의 비용……………………………………………………… 2933. 필립스곡선… …………………………………………………………… 2984. 물가안정정책… ………………………………………………………… 3105. 디플레이션… …………………………………………………………… 314부록A. 마크업 모형에 의한 필립스곡선의 도출………………………… 318Chapter 11 경기안정정책 논쟁1. 대공황과 거시경제정책………………………………………………… 3262. 적극적 경기안정정책에 대한 논쟁… ………………………………… 3293. 재량에 의한 정책과 준칙에 의한 정책… …………………………… 3344. 경기안정정책은 불필요한가?… ……………………………………… 341part 4 개별 경제주체의 의사결정Chapter 12 소비와 저축1. 절대소득이론… ………………………………………………………… 3502. 소비이론의 미시경제적 기초…………………………………………… 3523. 평생소득이론… ………………………………………………………… 3614. 항상소득이론… ………………………………………………………… 3635. 항상소득이론과 유동성 제약…………………………………………… 3666. 저축의 동기……………………………………………………………… 373Chapter 13 투자1. 투자의 형태와 경제적 역할… ………………………………………… 3812. 자본의 한계효율이론…………………………………………………… 3833. 자본의 사용자비용이론 - 신고전적 접근…………………………… 3874. 주택투자… ……………………………………………………………… 3945. 재고투자… ……………………………………………………………… 396Chapter 14 재정과 정부부채1. 정부지출과 재정수입…………………………………………………… 4032. 재정적자와 총수요……………………………………………………… 4063. 정부부채와 재정위기…………………………………………………… 413부록A. GDP대비 정부부채 비율 변화식의 도출………………………… 422part 5 화폐와 금융Chapter 15 화폐수요와 공급1. 왜 화폐가 중요한가?…………………………………………………… 4302. 화폐의 기능과 정의……………………………………………………… 4333. 화폐의 공급……………………………………………………………… 4394. 화폐수요의 결정………………………………………………………… 4515. 화폐수량설과 화폐의 유통속도………………………………………… 460Chapter 16 통화정책1. 통화정책의 운용………………………………………………………… 4712. 통화정책과 신용경로…………………………………………………… 4773. 물가안정목표제 통화정책……………………………………………… 4844. 양적완화 통화정책……………………………………………………… 4855. 테일러준칙 하에서의 총수요-총공급 모형… ……………………… 489Chapter 17 금융시장과 금융위기1. 금융시장과 금융기관…………………………………………………… 4972. 채권과 수익률곡선……………………………………………………… 5013. 주식시장과 주가………………………………………………………… 5104. 금융시스템 위험과 금융위기…………………………………………… 516part 6 장기 경제성장Chapter 18 경제성장1. 신고전적 성장이론……………………………………………………… 5302. 자본의 신개념…………………………………………………………… 5523. 내생적 성장이론………………………………………………………… 5564. 경제성장의 요인………………………………………………………… 560부록A. 경제성장모형의 수식……………………………………………… 566Chapter 19 경기변동과 거시경제학의 신조류1. 화폐적 균형경기변동론………………………………………………… 5752. 실물적 경기변동론……………………………………………………… 5793. 새 케인즈학파와 메뉴비용모형………………………………………… 597부록A. 2기간 실물적 경기변동모형……………………………………… 6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