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最新 동양조경문화사
- 저자
- (사)한국전통조경학회
- 출판사
- 도서출판 대가
- 출판일
- 2018-02-14
- 등록일
- 2019-04-24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0
- 공급사
- 북큐브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한국 전통 정원은 중국이나 일본에 비해 건물과 연못의 형태, 누각이나 정자, 건물의 색채, 창호의 형태 등에서 많은 차이가 있다. 경관적인 측면에서 비교한다면 한국은 외부지향적, 중국은 내·외부를 모두 중시하는 양면지향적, 일본은 내부지향적인 경향을 띤다. 한국에서는 외부의 자연경관을 중요시하는 데 비해, 중국은 원림에서 건물이 어떻게 보이는가와 건물 안에서 어떻게 밖을 내다보도록 만들 것인가를 고려하기 때문에 내·외부를 중요시하는 양면지향적이라고 할 수 있다. 반면에 일본은 차실이란 좁은 공간 안에서 스스로를 돌아보는 것을 즐기는 경향이 있고 정원을 만들더라도 자연을 지향하기보다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정원 안에 있는 것만을 둘러보고 느끼는 양식이다. 한·중·일 삼국의 조경문화를 심도 있게 다룬 이 책을 통해 한국 전통 조경의 유전자를 더욱 확연하게 들여다볼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김농오 목포대학교
김묘정 성균관대학교
김성균 서울대학교
김영모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김용기 성균관대학교(명예교수)
김진성 前 동신대학교
김학범 한경대학교
박찬용 영남대학교
백지성 전남대학교
신상섭 우석대학교
안계복 대구가톨릭대학교
이원호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이유직 부산대학교
이재근 前 상명대학교
이창환 상지영서대학교
진상철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최종희 배재대학교
홍광표 동국대학교
목차
제1부 총설
1. 동양조경문화사의 범위
2. 자연환경
3. 문화적 배경
제2부 한국의 조경문화
제1장 선사 및 고대시대
1. 선사시대
2. 고조선시대
3. 고구려시대
4. 백제시대
5. 발해시대
6. 신라시대
7. 통일신라시대
제2장 고려시대
1. 시대 개관
2. 도성과 궁궐
3. 민가
4. 사찰
제3장 조선시대
1. 시대 개관
2. 궁궐
3. 읍성
4. 객사
5. 왕릉
6. 사찰
7. 전통마을과 주택
8. 별서
9. 누(樓)·정(亭)·대(臺)
10. 마을숲
11. 명승
12. 서원
제3부 중국의 조경문화
제1장 시대 개관
제2장 은·주시대
1. 개관
2. 은·주시대 원림의 특징
제3장 진·한시대
1. 개관
2. 진·한시대 원림의 특징
제4장 위·진·남북조시대
1. 개관
2. 위·진·남북조시대 원림의 특징
3. 대표 원림
제5장 수·당시대
1. 개관
2. 수·당시대 원림의 특징
제6장 송시대
1. 개관
2. 송시대 원림의 특징
3. 대표 원림
제7장 금·원시대
1. 개관
2. 금·원시대 원림의 특징
3. 원의 대표 원림
제8장 명시대
1. 개관
2. 명시대 원림의 특징
3. 대표 원림
제9장 청시대
1. 개관
2. 청시대 원림의 특징
3. 대표 원림
제4부 일본의 조경문화
제1장 시대 개관
제2장 상고시대
1. 개관
2. 원시시대
3. 비조(飛鳥 아스카, AD 592~707년)시대
4. 나양(奈良 나라, 708~781년)시대
제3장 평안시대
1. 개관
2. 평안(헤이안)시대 초기
3. 평안(헤이안)시대 중기
4. 평안(헤이안)시대 말기
제4장 겸창시대
1. 개관
2. 침전조정원의 계속
3. 막부와 무사들의 정원
4. 선종사찰의 정원
5. 몽창소석(夢窓漱石 무소 소세키)의 조경
제5장 실정·전국시대
1. 개관
2. 초기 서원조정원
3. 고산수정원
제6장 도산시대
1. 개관
2. 서원조정원
3. 다정
제7장 강호시대
1. 개관
2. 회유식정원
3. 평정(坪庭 쓰보니와)
4. 이도헌추리(離島軒秋里 리토켄 아키사토)
제8장 명치·대정시대
1. 개관
2. 서양식 정원의 영향, 구고하(?古河 큐후루카와) 정원
3. 소천치병위(小川治兵衛 오가와지헤이 1860~1933년)의 정원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