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역사 교육에 대한 거대 담론을 논하다
역사란 무엇일까? 왜 역사를 가르치고 있는가? 역사 교육은 우리 사회교육 발전에 과연 기여할 수 있을까? 이런 다양한 문제들을 끊임없이 고민하는 역사교사들을 위한『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수업의 현장에서 길어 올린 역사 교사들의 자문자답으로 역사교육에 관한 풀리지 않는 의문과 수업을 준비하면서 마주하게 된 고민들을 토론하여 정리한 결과물이다. 이 책은 2007년 개정된 역사 교과서를 짚어가며 수업 현장과 연관된 분석을 담았다.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는 역사 교욱과정이 어떻게 변화하고 역사 교육과정을 둘러싼 쟁점들은 어떤 것이 있는지 살핀다. 역사 교육환경에 어떻게 대응해야하는지 바라보고, 역사 과목 중 새롭게 신설된 '한국 문화사'와 '동아시아사'에 대한 내용도 점검했다.
☞살아있는 역사교육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자발적으로 모임을 결성한 지 20주년 되는 해로 명실상부한 역사교육의 주도 세력으로 부상한 역사교육모임은 성년이 된 것을 기념하여 그간 역사교육을 둘러싼 논의와 성과물을 한 권으로 엮은 20주년 기념 출간도서이다.
‘전국역사교사모임’은 성년의 나이에 이르는 동안 역사교육 현장에 터한 실천적인 수업 이론을 왕성하게 생산해냈을 뿐 아니라 대외적으로도 활동의 보폭을 차츰 넓혀왔다. 대표적인 대안 교과서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2002)와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2005)를 펴냄으로써 명실상부한 역사교육의 주도 세력으로 부상한 역사교사모임은 성년이 된 것을 기념하여 그간의 역사교육을 둘러싼 다양한 논의와 성과물들을 한 권의 책으로 묶어냈다. 바로 ‘현장 교사들이 쓴 역사교육론’,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이다.
저자소개
전국역사교사모임
1988년 ‘역사교육를 위한 교사모임’으로 창립하여 1991년 전국역사교사모임으로 발돋움하였다. ‘살아있는 역사교육 공동체’를 지향하는 전국역사교사모임은 올바른 역사교육을 고민하는 2,000여 회원들과 함께 각종 연구모임과 지역모임 활동을 통해 역사교육 현장을 바꿔나가고 있다. 역사교육 전문지인 계간 《역사교육》을 꾸준히 펴내고 있으며, 《살아있는 한국사 교과서》 1ㆍ2, 《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 1ㆍ2, 《우리 아이들에게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등 단행본과 각종 수업지도안, 자료집을 발간하였다. 2008년 창립 20주년을 맞아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며 현장 교사들이 쓴 역사교육론 《역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를 펴냈다.
이 책의 편집위원
방지원(신라대학교 역사교육과) | 송지선(서울 구로고등학교) | 이성호(서울 배명중학교) | 이지현(서울 경기여자고등학교) | 천은수(인천 부개고등학교) | 황지숙(서울 신림고등학교)
이 책의 집필에 참여하신 분들
김남철(전남 노화고등학교) | 김민수(부산 중앙여자고등학교) | 김육훈(서울 태릉고등학교) | 김종훈(서울 강남중학교) | 김한종(한국교원대학교 역사교육과) | 박중현(서울 양재고등학교) | 방지원(신라대학교 역사교육과) | 안병갑(경남 과학고등학교) | 양정현(부산대학교 역사교육과) | 오세운(서울 대영고등학교) | 윤세병(대전 과학고등학교) | 윤종배(서울 온곡중학교) | 최재호(부산 브니엘여자고등학교) | 황지숙(서울 신림고등학교) | 경기역사교사모임 | 대구역사교사모임 | 부산역사교사모임 | 교육과정위원회
목차
책을 펴내며 현장 교사들, 역사교육의 거대 담론을 말하다 / 윤종배
서문 왜 지금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이야기하는가 / 편집위원
1부 ‘교과서’라는 이름의 책
주제 1 | 역사교육과정을 어떻게 볼 것인가 / 김한종
1. ‘교육과정’은 가르치는 데 중요한가
2. 역사 교육과정의 어제와 오늘
3. 역사교육과정을 둘러싼 오해와 진실
4. 2007년 개정 교육과정, 그 기대와 한계
5. 역사 교사와 역사 교육과정
주제 2 | 역사 교과서 제도: 역사의 지식생산, 유통, 소비의 메커니즘 / 양정현
1. 역사 교과서 제도의 그물
2. 국정, 검정 교과서의 생산과 유통
3. 시대상의 투영, 국정 국사 교과서의 명암
4. 역사 교사, 판매원 혹은 디자이너
5. 교사의 교육권, 그리고 교과서 자유 발행제
주제 3 | 교사의 교육과정, 배움책과 대안교과서 / 윤종배
1. 배움책의 탄생
2. 교육과정, 교과서, 그리고 배움책
3. 교과서의 문제점을 뛰어넘어
4. 다양한 배움책, 교육과정의 새 지평을 열다
5. 배움책에서 대안 교과서로
6. 더 많은 대안 교과서를 위하여
주제 4 | 역사 수업의 대안 모색, ‘읽는 학습지’ / 김종훈
1. ‘사실’에서 ‘이야기’로
2. ‘읽는 학습지’를 만들자
3. ‘읽는 학습지’ 주제 선정의 노하우
4. ‘읽는 학습지’ 이야기 구성의 노하우
5. 수업은 어떻게 진행할까
6. 카이사르의 것은 카이사르에게로
2부 새로운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말한다
주제 1 | 2007년 개정 역사교육과정을 말한다 / 교육과정위원회
1. 시선집중! 새 교육과정
2. 사회과 울타리 안에 따로 집을 짓다
3. 5학년부터 12학년까지, 아이들이 만나는 역사
4. 해묵은 과제, 계열성
5. 미래 사회를 만드는 힘
주제 2 | 처음 만나는 ‘역사’ 어떻게 구성할까 / 방지원
1. 새 교육과정에게 ‘역사’의 정체성을 묻다
2. ‘역사’ 속의 한국사와 세계사
3. 역사 교과서를 상상하다
4. 역사 교과서의 조건을 다시 생각한다
주제 3 | ‘한국문화사’란 무엇인가 / 대구역사교사모임
1. 오래된 문화사, 낯선 ‘한국문화사’
2. 한국문화사의 정체성을 찾아
3. 한국문화사 교과서와 수업을 생각한다
4. 새로운 문화사 수업을 위하여
주제 4 | ‘동아시아사’,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까 / 황지숙
1. 새로운 과목 동아시아사
2. 동아시아사의 탄생 배경
3. 동아시아사 교육과정을 살피다
4. 미리 살펴본 동아시아사 교과서
5. ‘동아시아사’, 어떻게 가르칠까
6. 자기 성찰적 관점을 기대하며
주제 5 | 세계사 교육과정의 미래 / 최재호
1. ‘한국에 세계사는 없다’
2. 세계사교육이 걸어온 발자취
3. 현장에서의 개선 노력:《살아있는 세계사 교과서》의 성과와 한계
4. 세계사 교육과정의 변화: 달라진 세계사 교육과정의 특징과 문제점
5. 한국 세계사교육의 과제와 제언
6. 또 다른 대안의 세계사를 기대하며
3부 한국 사회의 미래와 역사교육
주제 1 | 역사교육에서 민족주의 문제를 어떻게 다룰까 / 부산역사교사모임
1. 왜 아직도 민족주의인가
2. 민족주의, 제대로 알고 있는 것일까
3. 역사 교사가 부딪혀온 민족주의
4. 국사 교과서 속의 민족과 민족주의
5. 역사 수업과 민족주의, 그 대안을 찾아서
6. 민족주의, 폐기와 옹호를 넘어
주제 2 | 한.중.일 역사 교사 교류와 역사교과서 대화 / 박중현
1. 역사 분쟁으로 맞은 21세기
2. 역사 교과서 대화와 공동 교과서 제작
3. 공동 교과서가 만들어진 후
4. ‘우리’를 넘어 동아시아와 세계로
주제 3 | 전쟁 이야기로 평화를 말할 수 있을까 / 김남철
1. 역사교육에서 전쟁과 평화
2. 교과서는 전쟁을 어떻게 그렸을까
3. 평화교육과 역사교육의 만남
4. 아이들의 평화적 감수성을 위하여
주제 4 | 역사교육은 민주주의에 보탬이 될 수 있을까 / 김육훈
1. 과거의 힘
2. 목소리
3. 기억
4. 재구성
5. 그런데……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6. 기념하기. 그리고……
4부 역사교육의 새로운 지평을 위하여
주제 1 | 여성의 역사, 여성의 눈으로 보는 역사 / 경기역사교사모임
1. 왜 여성적 시각의 역사를 고민하는가
2. ‘여성의 눈’으로 역사를 읽는다
3. 여성사 수업, 최소한의 자리찾기를 기대하며
주제 2 | 교실에서 ‘노동의 역사’ 수업하기 / 김민수
1. 잃어버린 노동의 역사
2. 노동의 역사, 새로운 역사?
3. 노동의 역사, 어떻게 가르칠까
4. 연대와 상생의 가치를 복원하기 위하여
주제 3 | 역사교육에서 지역사 끌어안기 / 오세운
1. 왜 지금 지역사를 말하는가
2. 중앙의 역사, 지역의 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