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글로벌 개발에 미치는 지구화와 반지구화의 폐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안은 ‘글로벌 거버넌스’다. 글로벌 거버넌스는 지난 20여 년간 뜨거운 논쟁거리였으나 신자유주의의 위세에 눌려 지금껏 화제가 되지는 못했다. 그런 가운데 경제성장 주도의 개발에 대한 반성과 비판이 제기되면서, 글로벌 개발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 책은 지구화와 반지구화가 인간개발을 비롯한 사회개발과 정치, 경제에 미치는 여러 영향들과 이에 대한 ‘글로벌 거버넌스’(global governance)를 탐구한다.
저자는 2000년에 저서 『글로벌 거버넌스와 NGO』와 『UN, NGO, 글로벌 시민사회』를 통해 글로벌 경제와 개발의 거버넌스 논의를 한국 사회에 선도적으로 제기해왔다. 이 책 『글로벌 개발 거버넌스』는 ‘글로벌 거버넌스’에 대한 저자의 지난 20여 년의 교육과 연구 활동을 한데 모아 정리한 결과물이다.
저자소개
저자 : 주성수
저자 : 주성수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교수이자 제3섹터연구소장으로 재직 중이며, 시민사회와 사회적경제 연구 및 활동을 이어오고 있다. 시민사회에서는 1992년 경실련 사회복지위원회와 강동송파 경실련 공동대표, 1995년 한국자원봉사포럼 총무, 1996년 한국대학사회봉사협의회 전문위원, 1998년 공동모금회(사랑의열매) 기획위원, 1999년 KOPION 자문위원, 2007년 아시안프렌즈 이사로 활동해왔다. 2013년에는 서울시NPO지원센터 제1기 운영위원장을 맡았고, 현재는 국가자원봉사진흥위원회 위원, 성동구 사회적경제위원회와 마을공동체위원회 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다. 대학에서는 1997년에 제3섹터연구소를 창설해 현재까지 열두 명의 연구교수들과 함께 국내외 시민사회와 사회적경제 연구에 집중하는 20여 년의 시간을 가졌다. 또한 1차(2004~2006)와 2차(2008~2010)에 걸쳐 글로벌 시민사회연대 네트워크인 CIVICUS의 48개국 글로벌 시민사회지표 조사분석에 한국 대표로 국제 연구활동을 진행했다. 학술지 <시민사회와 NGO>의 편집위원장을 맡아 시민사회와 사회적경제의 다양한 분야 전문가들과 학술교류를 나눠왔다. 글로벌 개발 관련 저서로는 『글로벌 거버넌스와 NGO』(2000), 『UN, NGO, 글로벌 시민사회』(2000), 『빈곤에서 권력으로(From Poverty to Power)』(D.?Green 저, 번역서, 2010), 『글로벌 CSR의 개발협력 현황과 발전과제』(KOICA, 2013), 『해외봉사단의 개발효과성 증진』(KOICA, 2014), 『사회적경제 접근의 민관협력사업의 혁신방안』(KOICA, 2015) 등이 있다.
목차
서문
제1부 ‘지구화 시대’의 글로벌 개발 거버넌스
제1장 지구화, 개발, 글로벌 거버넌스
1. ‘지구화’(globalization)의 두 얼굴
2. 지구화 → 글로벌 개발 위기?
3. 지구화 → 글로벌 거버넌스
4. 글로벌 거버넌스 → 지속가능한 개발
5. 지구화 → 글로벌 거버넌스 → SDGs
제2장 지구화 → 글로벌 위기?
1. 글로벌 금융, 식량, 기후변화 위기
2. 글로벌 ‘경제와 무역’ 거버넌스
3. 개발도상국의 성장 과 대응
제3장 글로벌 거버넌스 → 지속가능한 개발?
1. 글로벌 ‘인간개발’은 진전되는가?
2. MDGs(밀레니움 개발 목표)의 성과
3. SDGs(지속가능한 개발 목표)의 비전
4. 인간개발을 위한 통합적 접근
제4장 지속가능한 개발의 파트너십
1. 글로벌 ‘개발원조’ 거버넌스
2. 글로벌 거버넌스 감시자 NGO
3. 글로벌 ‘다국적기업’ 거버넌스
4. 개발 파이낸싱: 임팩트 투자
제2부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제5장 글로벌 ‘금융’ 거버넌스
1. 글로벌 금융위기 → 개발 위기?
2. 금융위기 → 긴축정책 → 사회안전망 위협
3. 글로벌 ‘금융’ 거버넌스
제6장 글로벌 ‘식량’ 거버넌스
1. 글로벌 ‘식량 위기’의 시대?
2. 개발도상국의 식량위기 대응 전략
3. 글로벌 식량 위기의 원인 분석
4. 글로벌 ‘식량안보’ 거버넌스
제7장 글로벌 ‘물’ 거버넌스
1. 글로벌 물 위기와 물 안보
2. 물-식품-에너지-기후변화
3. 물과 토지 투기 → 물과 식량 위기
4. 글로벌 ‘물’ 거버넌스
제8장 글로벌 ‘재난과 기후변화’ 거버넌스
1. 글로벌 ‘환경’ 거버넌스 어젠다
2. 글로벌 기후변화와 환경보존
3. 바이오연료 → 토지투기 → 식량위기
4. 글로벌 ‘기후변화’ 거버넌스
제9장 글로벌 ‘자원’ 거버넌스
1. 자원부 유국의 ‘자원 저주’?
2. 글로벌 ‘자원’ 거버넌스: EITI
3. EITI 원칙과 실행기준
제10장 글로벌 ‘보건과 사회정책’ 거버넌스
1. ‘인간안보’의 사회정책
2. 글로벌 위기에 대한 사회정책
3.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
4. 글로벌 ‘HIV/AIDS’ 거버넌스
5. 글로벌 ‘사회보호’ 거버넌스
제11장 결론: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1. 신제도주의와 ‘개발국가’의 한계
2. 신자유주의 → 글로벌 개발 위기
3. SDGs 이행을 위한 글로벌 거버넌스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