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남근과 여근, 열녀, 배꼽, 성적 제의, 여신, 심지어 쌍욕과 쑥떡 등 각기 다른 우리 문화들이 전통시대의 성담론이라는 하나의 줄기로 꿰뚫어 내보여주고 있다. 금줄, 무당 등의 샤머니즘적 원형에서부터 생명나무를 통한 신화적 현현과 전통의 생태사관을 얘기하고 있다. 두레와 돌하르방, 구들, 흰옷, 모정 등의 생활문화와 장례와 매향, 풍물굿, 광대 등 의례적, 연희적 모습까지 두루 돌아본다. 전국의 현장은 물론이고 박물관과 저자의 아카이브에서 찾아낸 방대한 시각 자료 500여 컷이 담겨 있다.
저자소개
저자 : 주강현
저자 : 주강현
저자 주강현은 제주대 석좌교수, 아시아퍼시픽해양문화연구원장(APOCC). 서울에서 태어나 양정고와 경희대에서 공부했다. 한국역사민속학회를 만들어 ‘역사과학으로서의 민속학’을 이 땅에 뿌리내리는 역할을 했으며, 북한민속학도 개척했다. 역사학, 민속학, 인류학, 민족학, 고고학 등 융복합적 연구에 기반해 해양문명사에 천착하고 있다. 시베리아, 환동해, 태평양, 인도양, 지중해 등 전 세계로 발품 팔며 해양실크로드 문명을 탐구 중이며, 일산 정발학연鼎鉢學硏과 제주 산귤재山橘齋를 오가며 아카이브를 축적시키고 있다. 지금까지 낸 책으로는 《독도강치 멸종사》, 《환동해문명사》, 《제국의 바다 식민의 바다》, 《관해기》(1,2,3), 《적도의 침묵》, 《독도견문록》, 《돌살:신이 내린 황금그물》, 《조기에 관한 명상》, 《黃金の海 ·イシモチの海》, 《유토피아의 탄생》, 《등대문화사》, 《세계박람회 1862~2012》, 《상하이 세계박람회》, 《Ocean Expology》, 《두레:농민의 역사》, 《제주기행》, 《왼손과 오른손》, 《굿의 사회사》, 《마을로 간 미륵》(1,2), 《황철산 민속학》, 《북한민속학사》, 《북한의 우리식문화》, 《북한의 민족생활풍습》 등이 있다. 번역서 《인디언의 바다》와 어린이책 《독도야 강치야 동해바다야》, 《주강현의 우리문화》, 《명태를 찾습니다》 등도 펴냈다.
목차
들어가는 글
01 광대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02 구들, 우리 민족의 영원한 태 자리
03 금줄과 왼새끼의 비밀
04 남근과 여근의 풍속사
05 도깨비, 부릅뜬 눈으로 악귀를 쫓다
06 돌하르방은 어디서 왔을까
07 똥돼지의 내력을 묻는다
08 매향의 비밀문서를 찾아라
09 모정과 누정, 노동과 관음
10 무당과 신내림, 아직도 풀리지 않는 수수께끼
11 바위그림, 고래의 울음을 품은
12 배꼽, 혁명 혹은 구멍
13 생명나무, 황금가지의 수수께끼
14 성적 제의와 반란의 굿
15 솟대, 하늘로 비상하는 마을 지킴이
16 숫자 ‘3’의 비밀
17 쌍욕과 쑥떡, 성에 빗댄 야유
18 여신, 버림받은 딸의 반전
19 열녀전 끼고 서방질
20 장, 되는 집안의 맛은 다르다
21 장례, 놀이와 의례의 반란
22 장승, 마을을 지키는 수호신
23 풍물굿 1799~
24 황두와 두레, ‘노동의 비밀’
25 흰옷을 입은 민족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