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한국영화사를 10개의 시기로 구분하여 살펴보는 책. 여러 필자들이 옛 한국영화를 분석하여 서로 열띤 논의를 주고받으며 자신의 화두를 풀어낸 결과물로, 지금껏 생산된 한국영화에 대한 논의의 핵심을 다루고 있다. 한국영화에 대한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시대적 맥락 속에 짜 넣음으로서 현재의 관점에서 한국영화사 전체를 조망한다. 각 시기별 주제는 법, 제도, 산업, 문화적 측면과 같은 사회적 맥락을 한 축에 두고, 그 시기의 특징을 보여주는 영화의 흐름을 또 다른 한 축으로 잡았다. 초보자에서 전문가까지 폭넓게 다가갈 수 있는 다층적인 스펙트럼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01. 활동사진의 상영과 한국영화의 등장
눈물, 비명, 폭력, 웃음, 한국 장르 영화의 네 가지 변주
활동사진의 상영
상설 영화관의 설립
<의리적 구토>와 연쇄극의 성행
계몽으로 시작된 극영화, <월하의 맹서>
최초의 여배우 이월화와 기생 배우의 활동
<장화홍련전>과 제작자 박승필
02. 식민 시대, 무성영화의 전성기 1926~1934
조선/한국 영화에서 신파 또는 멜로드라마의 계보학
활동사진 필름 검열규칙
신파영화와 근대성
<아리랑>과 민족영화
카프 영화운동과 경향파 영화
민족의 울분을 대변한 <임자 없는 나룻배>
변사, 무성영화 시기의 스타
03. 발성영화, 그리고 군국주의 1935~1945
한국 리얼리즘 영화담론사
최초의 발성영화, <춘향전>
조선의 영화기술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한국영화, <미몽>
필름이 발굴된 이 시기 영화들
조선영화령 이후 일제의 영화 통제와 공작
일제 말기의 합작 선전영화
04. 해방과 한국전쟁 1945~1953
영화와 표현의 자유, 한국영화 심의제도의 변천
<자유만세>와 광복영화
영화기술의 혼재
미군정기 영화단체의 활동
서정적이고 차분한 영상미가 돋보인 <마음의 고향>
한국전쟁과 기록영화 활동
피난지에서의 영화제작
05. 영화산업의 중흥기 1954~1962
한국영화 스타 시스템의 변화
한국전쟁 후 국산영화 진흥정책
한국영화 중흥의 교두보, <춘향전>
사극영화의 붐
<자유부인>과 멜로드라마
<시집가는 날>과 희극영화
장르의 분화와 형식의 경향
외화의 상영과 그 영향
수도영화사와 안양촬영소
한국의 할리우드, 충무로의 형성
새로운 가부장제의 모습, 가족 드라마
전후 한국영화의 삼각형, <하녀> <오발탄>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
06. 한국영화의 르네상스, 그리고 장르 영화 1963~1971
한국 여성 감독들의 발자취
영화법의 제정과 시행
한국영화 기업화 정책, 신필름 왕국의 탄생
와이드 스크린의 시대, 시네마스코프와 컬러
화려한 세트와 의상, 사극영화
새로운 장르의 감각과 미학, 스릴러 액션 영화
비정상성의 웃음과 정상성의 안도, 희극영화
<맨발의 청춘>과 청춘영화
한국영화의 세계 진출, 한-홍 합작영화
외설죄 혹은 반공법 위반
우수영화 보상제도와 문예영화 현상
모더니즘 영화의 자의식
<월하의 공동묘지>와 괴기영화
<미워도 다시 한번>과 1960년대 말 신파영화
07. 통제와 불황의 시대 1972~1979
한국영화에서 가족의 재현
유신 시대의 영화법
영화산업의 침체와 TV의 영향
대중소설의 영화화 경향
황폐한 시대에 대한 저항의 은유, <영자의 전성시대> <바보들의 행진>
청년문화와 '영상시대'
통제의 그늘, 국책영화
국적불명의 장르, 무협 액션 영화
십대 관객층의 형성, 하이틴 영화
호스티스 영화의 붐, 그 담론의 진실
극장가의 풍경, 재개봉관의 하위문화
문화원 세대, 영화광 문화의 태동
08. 신군부의 문화 통치와 새로운 영화문화의 출현 1980~1987
한국영화에서의 여성상
3S 정책과 에로티시즘 영화
빈민의 초상, 소재의 리얼리즘
분단의 극복과 통일의 길 찾기
영화에 대한 집단주의의 압력
1980년대 대중영화의 감성과 화법
5, 6차 영화법 개정과 제작, 수입 자유화
여성의 현실을 다룬 영화들
세계화, 국제영화제에서의 수상
새로운 영화, 대안적 영화를 모색하며
영화 전문 교육, 한국영화아카데미
할리우드 직접배급의 시작과 저항
소극장 문화와 비디오의 대중화
09. 새로운 한국영화의 움직임 1988~1995
누구의 민족영화인가 : 한국영화의 정치적 재현의 역사와 장소
직배 이후 한국 영화산업의 변화
코리안 뉴웨이브의 출현
장산곶매와 <파업전야> 상영투쟁
<상계동 올림픽>과 독립 다큐멘터리 제작단체들의 활동
신진 프로듀서의 기획영화
코미디의 새로운 감각, <결혼이야기> <투캅스>
<서편제>와 민족의 재인식
현실과 장르의 복합적 자의식, 뉴웨이브 이후 세대 감독들
예술영화의 상영, 비디오테크에서 예술영화전용관으로
사수! 스크린 쿼터
10. 한국영화의 성장과 전망 1996~현재
한국영화 정책사
WTO 체제와 영화 진흥정책의 재편
검열에서 등급제로의 전환
배급체계의 변화와 새로운 구조
시각적 테크놀로지의 발전
민족, 민중영화의 '민중'과 '민족'
비평 저널리즘, 영화 주간지 시장의 형성
지역에서 세계로, 부산국제영화제의 출범
한국영화의 국제 공동제작
가깝고 편안한 관람, 멀티플렉스
<쉬리>와 한국형 블록버스터
품질의 인증, 웰 메이드 영화
중장년층의 극장 나들이, 1000만 관객 시대
한류 열풍과 한국영화
한국영화의 젊은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