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후설의 현상학과 여러 현대 철학과의 관계를 심층적으로 연구한 책. 후설의 현상학과 철학적 해석학, 생철학, 비판 이론, 탈현대 철학 등 다양한 현대 철학 사조 사이의 관계를 해명하고 있다. 후설의 현상학뿐만 아니라 후설의 현상학과 관계된 다양한 현대 철학 사조에 대해 보다 심층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이 책은 감정의 현상학, 상호주관성의 발생적 현상학, 세대간적 현상학 등 후설의 현상학의 새로운 측면들, 다방면에 걸쳐 확인할 수 있는 후설의 현상학과 다양한 현대 철학 사조 사이의 밀접한 관계, 후설의 현상학이 인접 학문의 철학적 토대를 위해 지니는 결정적인 의미 등을 종합적으로 해명하고 있다. 후설의 현상학과 현대 철학 사조 사이의 활발한 대화를 위해, 현대 철학의 사조를 현상학과 접목시키고자 했다.
저자소개
저자 :
이남인은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독일 부퍼탈대학 철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5년부터 현재까지 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제50회 대한민국학술원상(인문사회과학분야, 2005), 철학연구회 논문상(1994), 1991년도 독일 Wuppertal 대학교 최우수 박사학위논문상(1992) 등을 수상하였다.
대표적인 저서로는 Edmund Husserls Phanomenologie der Instinkte(Dordrecht/Boston /London: Kluwer Academic Publishers, 1993, Phaenomenologica Bd. 128), 『현상학과 해석학』(서울대학교출판부, 2004) 가 있으며 「상호주관성의 현상학: 후설과 레비나스」, 「감정의 현상학: 후설과 레비나스」, “Unterschiedliche Problemfelder einer Phanomenologie der Intersubjektivitat”, “Das An-sich Sein und verschiedene Gesichter der Welt”, “Edmund Husserl's Phenomenology of Mood”, “Practical Intentionality and Transcendental Phenomenology as a Practical Philosophy”, “Static-Phenomenological and Genetic-Phenomenological Concept of Primordiality in Husserl's Fifth Cartesian Meditation” 등 다수의 논문을 국내학술지와 국제학술지에 발표하였다.
『철학과 현상학 연구』, 『철학』 등을 비롯한 몇몇 국내학술지와 Continental Philosophy Review(Kluwer Academic Publishers), The New Yearbook for Phenomenology and Phenomenological Philosophy(Noesis Press), Phenomenology and Cognitive Sciences(Kluwer Academic Publishers), Orbis Phaenomenologicus(Konnigshausen & Neumann) 등을 비롯한 몇몇 국제학술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Ⅰ부 후설의 현상학의 새로운 지평
제1장 후설의 기분의 현상학
1. 지향적 체험의 구조
2. 감정의 지향적 구조
3. 감정의 현상학의 문제점
4. M유고에 나타난 기분의 현상학
5. 후설의 기분의 현상학의 의의
제2장 발생적 현상학과 상호주관성의 문제
1. 후설의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에 대한 비판
2. 상호주관성의 발생적 현상학
3. 후설의 상호주관성의 현상학에 대한 비판에 대한 비판적 검토
제3장 발생적 현상학과 세대간적 현상학
1. 세대간적 현상학에 대한 문헌적 검토
2. 과제로서의 발생적 현상학
3. 발생적 현상학과 보편적인 초월론적 발생의 해명
4. 발생적 현상학의 한 영역으로서의 세대간적 현상학
제Ⅱ부 후설의 현상학과 비판이론
제1장 실천철학으로서의 현상학
1. 기존의 견해 및 연구들
2. 실천철학 개념의 정의
3. 지향 체험과 실천적 지향성
4. 실천에 관한 철학으로서의 현상학
5. 실천적 함의를 지닌 철학으로서의 현상학
6. 현상학과 비판이론
제2장 비판적 합리성의 구조 - 후설의 현상학과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론
1.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론
2. 후설의 명증적 진리론에 대한 하버마스의 비판
3. 후설의 명증적 진리론 일반에 대한 하버마스의 견해에 대한 비판적 검토
4. 명증적 진리론과 상호주관적 의사소통의 문제
5. 의사소통행위론과 명증적 진리론
6. 비판적 합리성의 구조
제Ⅲ부 후설의 현상학과 생철학 및 해석학
제1장 후설의 현상학과 딜타이의 생철학
제2장 후설의 현상학과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
제3장 현상학적 해석학 논쟁을 위하여
1. 후설과 하이데거의 영향과 가다머의 해석학의 과제
2. 가다머의 해석학의 출발점과 해석학적 현상의 근본구조
3. 가다머의 해석학에 대한 비판적 검토
4. 현상학적 해석학 논쟁의 성격 및 필요성
제Ⅳ부 후설의 현상학과 탈현대 철학
제1장 초월론적 현상학과 탈현대 - 다원주의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1. 들어가는 말
2. 초월론적 현상학에 대한 탈현대 철학의 비판 및 그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다원주의 철학으로서의 초월론적 현상학
4. 맺음말
제2장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과 레비나스의 타자의 현상학
1. 후설의 초월론적 현상학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
2. 후설의 지향성 개념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에 대한 비판적 검토
3. 구성 개념과 초월론적 주관 개념에 대한 레비나스의 비판에 대한 비판적 검토
4. 레비나스와 현상학적 전통
제Ⅴ부 후설의 현상학과 인접 학문의 철학적 토대
제1장 후설의 현상학과 질적 연구방법
1. 현상학적 체험 연구방법과 그에 대한 비판적 견해
2. 기존의 체험 연구에 대한 비판에 대한 비판적 검토(1)
3. 기존의 체험 연구에 대한 비판에 대한 비판적 검토(2)
4. 현상학적 체험 연구방법의 가능성
5.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지평
제2장 후설의 현상학과 인성교육
1. 시대의 위기, 학문의 위기, 그리고 철학의 위기
2. 참다운 철학과 위기의 극복
3. 인성교육의 철학적 정초
4. 인성교육과 철학교육
제3장 현상학과 질적 연구 - 철학과 인접 학문의 학제적 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제언
1. 수학적인 정량적 분석의 한계와 질적 연구의 필요성
2. 현상학과 질적 연구방법
3. 철학과 인접 학문의 학제적 연구 활성화를 위한 제언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