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인류가 가진 언어라는 재능은 말하기 위해서인가, 생각하기 위해서인가?왜 인간은 자신의 노력을 들여서 명백한 이득도 없이다른 사람들에게 그들의 안위를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데 기여하는가?언어학을 토대로 진화생물학, 동물행동학, 심리학, 철학을 아우르며인간 언어의 발달과정을 통찰한 명저언어학이라는 거울에 인류의 진화를 비추어보다. 이 책에서 인지언어학자이자 언어공학자인 저자는 진화생물학과 동물행동학, 심리학과 철학을 아우르며 인류가 어떻게 언어 능력을 발달시켜왔는지를 탐색한다. 『말의 자연사: 언어의 기원』이라는 제목이 붙어 있지만, 이 책에서 다루는 내용은 말이나 언어, 그리고 그것의 역사에 갇혀 있지 않다. 이 책에서 언어는 연구 대상 그 자체이기도 하지만, 인간의 발달과 인간의 특성, 인류가 이루고 사는 사회 등 다양한 분야를 들여다보는 돋보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 저자는 다양한 각도에서 방대한 영역의 학제간 연구와 혁신적인 이론으로 언어와 인류의 공진화사를 풀어내고, 독자는 그 창의적이고도 체계적인 전개를 따라가며 언어학적 상상력을 키운다.인간 언어에서 진정으로 가장 혁신적인 측면 가운데 하나는 예기치 않은 것으로 인식될 수 있는 모든 사건을 전달토록 유도하는 서사 활동에 있다. 서사적 행위의 존재만으로도 인간 언어는 의사소통의 여러 방식에 있어서 유일한 것이 된다. 즉 인간 언어는 동물들의 의사소통의 단순한 연장이 아니다. 서사의 차원에서 행해지는 우리의 자발적인 언어 행위는 섀넌이 말하는 정보를 감지한다. 그래서 우리는 인간의 언어행위를 별도로 구별한다. _54쪽저자는 3부 18장에 걸쳐 인류의 진화, 인간의 생물학적 기능, 그리고 그것이 유리하게 기능하는 사례를 언어와 관련된 행동과 연결 지어 탐구한다. 언어를 우연한 호기심의 산물로 상정하고, 그 진화 단계를 분석한 뒤 그것이 언어의 구조에 어떻게 드러나는지를 밝힌다.1부에서는 ‘인간 종의 역사에서 언어가 차지하는 위치’에서 동물의 언어와 근본적으로 다른 인간의 언어 능력을 생물학 및 진화론의 관점에서 살핀다. 저자는 언어의 효용은 당연하고도 자연스러우며 필수적이기까지 하지만, 언어의 존재는 그렇지 않다고 이야기하며 언어의 탄생이나 특성과 관련해 제기되었던 가설들의 맹점을 꼬집고, 보다 통합적인 관점을 제시한다. 2부 ‘말의 기능적 해부학’에서는 통사 기능과 의미 기능의 탄생 과정을 심도 있게 다룬다. 인간 언어의 많은 특성이 우연히 생긴 것이 아님을 확인하기 위해 음운론, 통사론, 의미론의 몇몇 측면을 연이어 분석한다. 나아가 통사 기능과 의미 기능의 탄생, 언어가 달리해온 의미 구조의 방식을 짚어보며 통사적 기제의 역할을 알아본다. 마지막 3부 ‘언어의 동물 행동학’에서는 의사소통이라는 사회적 행동을 다시금 적자생존이라는 진화 경향성에 적용해 설명한다. 동물 행동학의 접근 방식을 적용하여, 인간의 가장 특징적인 활동이라고 할 수 있는 언어의 명확하고 자발적인 사용, 즉 대화를 통해 인류라는 종의 특징을 들여다본다. 대화라는 행동의 의미와 역설을 살피며 독자들의 눈을 틔운다.
저자소개
파리 전기 통신 그랑제콜(Telecom Paris) 교수. 인공지능과 같은 공학적 도구로 언어 및 추론과 관련된 인간 지성을 연구하며, 인지과학, 의사소통 및 언어 진화에 대한 다수의 논문과 저서를 영어와 프랑스어로 발표했다. 대표 저서로는 『매우 인공적인 지능Des intelligences TRES artificielles』(2019), 『언어의 기원들Les origines du langage』(공저, 2010), 『관여성과 그 인지적 기원La pertinence et ses origines cognitives』(2008), 『유전학적 컴퓨터L’ordinateur genetique』(1996)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1부_ 인간 종의 역사에서 언어가 차지하는 위치1장 동물의 의사소통과 인간의 의사소통1.1 인간 언어의 생물학적 지위1.2 동물들의 의사소통1.3 신호로부터 행동으로1.4 코드로 고려되는 인간 언어1.5 영장류로서 인간의 의사소통1.6 인간에 의한 언어의 사용1.7 인간 언어의 독창성2장 문화, 개별 언어, 인간 언어2.1 왜 여러 개의 개별 언어가 존재하는가?2.2 공통 조어의 신화2.3 인간 언어와 구석기 혁명2.4 개별 언어에서도 보이는 복잡성3장 언어 능력의 생물학적 정착3.1 인간 언어의 신체 기관3.2 언어 능력에 바쳐진 신경 회로3.3 동물의 인간 언어 습득3.4 동물의 의사소통은 통사 규칙을 포함하는가?3.5 언어의 습득과 보편소3.6 신생아의 언어 관련 능력3.7 니카라과의 청각 장애 아동들의 사례3.8 인간 언어는 필연적 활동이다3.9 언어 능력4장 언어 기원에 대한 잘못된 증거들4.1 언어는 진화의 필연적인 귀결일 것이다4.2 언어로의 진화는 점진적이고 느리게 진행되었을 것이4.3 지성의 결과로서의 언어4.4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4.5 언어는 과거 진화의 유산이다5장 언어, 진화된 호기심5.1 진화 : 목적지가 없는 행진5.2 자연은 도약을 하는 것 같다5.3 언어의 출현은 복합 돌연변이 때문일 것이다5.4 언어는 완전히 다른 능력에서 파생되었을 것이다5.5 언어에 대한 과장된 낙관주의[팡글로스주의]적 설명6장 언어의 국소적 최적성6.1 우연과 필연 사이6.2 진화적 변화의 느림과 빠름6.3 언어 등장에서의 대진화와 소진화6.4 왜 소통하는가?2부 말의 기능적 해부학7장 소리의 조합7.1 인간 언어의 조음 동작7.2 인간 언어가 음성 언어이기 전에는 몸짓 언어였는가?7.3 언어의 원자 : 몸짓인가 아니면 음소인가?7.4 각 개별 언어의 음운 구조7.5 소리 연결에 기반한 정신 구조7.6 인간 언어의 규칙의 본질7.7 음운 관련 능력의 생물학적 기능8장 원시 언어8.1 단순히 단어만으로 의사소통하기8.2 학습되지 않는 언어8.3 원시 의미론8.4 선-언어, 문장 없는 언어8.5 원시 언어의 어휘8.6 원시 대화9장 통사 기제론9.1 통사 현상9.2 단어들 간의 관계의 중요성9.3 몇몇 통사적 사실들10장 의미 구성에서의 통사의 역할10.1 원시 언어에서 언어로10.2 의미 회귀와 통사 회귀10.3 의미 연결 원리10.4 통사 기제의 자립성10.5 또다른 통사10.6 통사의 기원11장 의미의 구조11.1 개념, 이미지 그리고 정의11.2 주제 분할11.3 이중 의미12장 의미의 탄생12.1 두 의미 형식의 분리12.2 주제 구분을 위한 기능적 역할12.3 의미의 인간적 형태 출현3부 언어의 동물 행동학13장 대화 행동13.1 언뜻 보기에는 하찮은 행동13.2 말하기를 설명하기 위한 몇몇 시도14장 정보로 사용되는 언어14.1 대화적 관련성의 제약14.2 정보적 방식에 존재하는 관련성14.3 정보에 민감한 존재들14.4 정보적 방식의 생물학적 정착14.5 정보의 본능적 공유15장 논증의 탄생15.1 논증적 방식에서 보이는 관련성15.2 인지 갈등의 개념15.3 논증의 되풀이되는 본질15.4 인간 언어의 중심 기능15.5 대화 방식의 기원16장 언어, 진화에의 역설16.1 사회 관계 이론16.2 언어의 이타적 특성16.3 언어와 협력16.4 언어와 속임수16.5 의사소통의 비용16.6 언어 진화의 세 단계17장 인간 언어의 정치적 기원17.1 화자가 적절성을 갖출 때 얻는 것17.2 명성 이론17.3 호미닌 언어들의 정치적 기능17.4 과시 수단으로서의 언어17.5 ‘호모 로퀜스’ 또는 ‘호모 폴리티쿠스’17.6 언어의 기타 기능18장 에필로그18.1 세 단계 생성론18.2 언어에 대한 새로운 시각18.3 전망참고문헌 | 역자 후기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