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 뭘 사랑까지 하고 그래
좋으면 됐지,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랑만은 아니니까
사랑이 전부인 것 같던 시절이 있었다. 온갖 사소한 이유로, 혹은 설명하기조차 어려운 어떤 이끌림으로 우리는 누군가를 내 생의 한가운데에 데려다 놓고 마음을 기꺼이 쏟아부었다.
때론 그렇지 않은 척, 네가 아니어도 된다는 듯 굴며 자존심을 지키려고도 애써 봤을 것이다. 하지만 어쨌든 타인이 그처럼 나만큼, 혹은 나보다도 몸집을 키워 내 안에 자리를 꿰차고 있던 순간은 엄연히 존재했다. 우리는 “백만 가지 이유로 사랑에 빠졌”고 “그것들은 대개 로맨틱하거나 달콤하고 또 우스웠다”.
그런데 언젠가부터, 조금 다른 것들이 눈에 들어오기 시작한다. 그리고 “어느 날 문득 알아 버렸다. 나는 주머니가 여러 개 달린 코트를 입고 있고, 그 주머니마다 별다를 것도 없는 소소한 욕망들을 집어넣은 사람이라는 것을 말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랑뿐만은 아니니까. 또 한 여성이자 개인으로서의 ‘나’는, 다른 무엇과도 맞바꿀 수 없이 중요하니까.
문득, 이런 내 삶을 지탱해 주는 가까운 사람들이 전에 없이 귀하게 다가온다. 인생의 동지들, 그러니까 “무언가 슬프고 허전한 일이 있어 계란찜 뚝배기 앞에 두고 매운 닭발을 줄줄 빨고 있어도 그냥 묵묵히 맞은편에 앉아 있어 줄 것만 같은” 여자 친구들이, “내 생애에 와 준 가장 맑은 샘물”이며 여자로서 함께 나이 들어 가는 나의 엄마가, 하나의 작은 우주 같은 아기가, 그리고 오래된 인연들이 어느 때보다 소중한 것.
그래서 감히 이렇게 말해 본다. “에이. 뭘 사랑까지 하고 그래. 대충 해.”
너무 애쓰지 않아도 괜찮은,
사랑 너머 오늘의 썩 괜찮은 삶
어린 날에는 삶을 송두리째 바꿔 줄 특별한 ‘사건’을 기대하면서 호기심과 긴장감 어린 얼굴로 여기저기 기웃거렸다. 뭐든 할 수 있을 듯 잔뜩 꿈에 부풀었고, 그랬던 만큼 세상의 많은 일들이 심각하고 또 무거웠다.
하지만 시간이 흘러, 세상이 뾰족하다 한들 웬만큼은 둥글게 감싸 안을 줄도 무겁지 않게 받아들일 줄도 알게 되었다. 그도 그럴 것이, 인생의 ‘별일’을 고대하던 청춘을 지나면 별일이 없어도 감사해지는 때가 오므로. 아니, 별일이 ‘없어서’ 감사한 때가 찾아오므로. 더 나은 삶, 그 욕심은 여전히 붙잡고 있지만 찌푸린 얼굴로 잔뜩 움켜쥔 모습은 아닌 것이다.
바삐 옮기던 걸음은 이제 조금 느긋해졌고, 주변을 두루 돌아보기도 하면서 유유히 거닐 수 있게 되었다. 마음에 들지 않는 자신을 바꾸려고 아등바등하기보다는, 본연의 나를 겸허히 받아들일 수도 있게 되었다. 인생의 쓴맛 속에서 단맛을 찾아내는 여유가, 단맛 속에서 쓴맛을 알아채는 경험치가 쌓인 덕분. 그러니 열띤 사랑 너머의 이 삶도 썩 괜찮다.
이처럼 가까운 곳의 다행함과 소중함, 그리고 유연하고 의연해진 태도는 무엇보다 일상에서 발견할 수 있을 터. 이에 소설가 김서령이 웃음 빵 터지거나 코끝 찡해지고 마는 각종 에피소드들을 모아 ‘Part 1 | 그러게, 사랑이라니’, ‘Part 2 | 엄마, 하고 부르면’, ‘Part 3 | 물론, 오늘도 종종걸음’, ‘Part 4 | 풋, 웃어도 좋겠지’의 총 4부 구성으로 나누어 담았다. ‘사랑과 연애’, ‘엄마’, ‘작가’, ‘일상’, ‘여행’ 등을 주제로 한 이야기들이 꽉꽉 들어차 있다.
그야말로 좌충우돌에 소위 생활 밀착형 수다가 가득한 이 책에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섬세하고 다정한 감상이 몽글몽글 녹아 있다. 그렇게 일상을 속닥이다 보면 완연한 행복이 손에 잡힌다. 그 고소한 이야기를 꿀떡꿀떡 삼키며 깔깔 웃고 고개 끄덕이는 사이, 오늘 하루 유쾌하게 살아갈 기운이 스리슬쩍 채워지는 것.
누구나 ‘처음’을 산다. 어차피 내일도 우리는 실수를 저지를 테고, 울 일은 언젠가 또다시 찾아온다. 그러니 이왕이면 힘 빼고 가볍게. 웃으면서.
“사람들이 저마다 꽃이라는 것을 잘 몰라서, 내가 나를 이해하지 못하기도 했고 내가 나를 용서하지 못한 날도 많았다. 내가 나를 미워하기도 했고 아주 허황한 이별을 여러 번 겪기도 했다. 저마다 꽃이라는 것을 잠깐 잊은 대가였다. 그래도 나는 나를 여태 예뻐한다. 예뻐해서 이렇게 책 한 권을 또 낼 수 있었다. 서툴고 모자라지만 그러라지 뭐.”
- 프롤로그 중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랑만은 아니니까”
너무 애쓰지 않아도 괜찮은,
사랑 너머 오늘의 썩 괜찮은 삶
“어느 날 문득 알아 버렸다. 나는 주머니가 여러 개 달린 코트를 입고 있고, 그 주머니마다 별다를 것도 없는 소소한 욕망들을 집어넣은 사람이라는 것을 말이다.”
우리에게 필요한 건 사랑뿐만은 아니니까. 그리고 한 여성이자 개인으로서의 ‘나’는, 다른 무엇과도 맞바꿀 수 없이 소중하니까.
주위를 둘러보자 이런 내 삶을 지탱해 주는 가까운 사람들이 전에 없이 귀하게 다가온다. 인생 동지들, 그러니까 “무언가 슬프고 허전한 일이 있어 계란찜 뚝배기 앞에 두고 매운 닭발을 줄줄 빨고 있어도 그냥 묵묵히 맞은편에 앉아 있어 줄 것만 같은” 여자 친구들이, “내 생애에 와 준 가장 맑은 샘물”이며 여자로서 함께 나이 들어 가는 나의 엄마가, 하나의 작은 우주 같은 아기가, 그리고 오래된 인연들이 어느 때보다 소중한 것.
그래서 감히 이렇게 말해 본다. “에이. 뭘 사랑까지 하고 그래. 대충 해.” 열띤 사랑 너머의 이 삶도 썩 괜찮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