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노을 : 난 너를 사랑해, 이 세상은 너뿐이야!
못다 핀 소녀를 위한 피끓는 찬가
이 소설에서 시간의 매개물로 설정된 상징은 이문세와 빅뱅의 〈붉은 노을〉이다. 프루스트를 좋아한다는 작가는,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에 등장하는 마들렌 과자와 같은 속성으로 설명한다. 또한 기상 시간의 ‘알람’이라는, 꿈과 현실의 경계에 가로놓인 상징이기도 하다. 밤과 낮의 사이에서 아주 잠깐 동안 불타오르다 세상 끝으로 사그라드는, ‘여기’에서 바라보며 ‘저 너머’로 보내주어야 하는 오늘의 하늘. 그러나 하열아에게는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 되찾아야 할 어제의 기억인 동시에 다시 새로운 내일로 닿고자 하는 역설의 풍광이기도 하다. 낮을 포기하지 않고 타들어가는, 슬프도록 아름다운 노을빛 속에 오늘도 그가 서 있다. 그리고 그녀의 이름을 부르고 있다. 저 타는 노을, 붉은 노을처럼….
이문세와 빅뱅, 그 세월의 극간에서
하늘 가득히 울려 퍼지는 〈붉은 노을〉
그 하늘 아래로,
사라진 기억과 다시 쓰여진 기적.
〈시학〉에서 아리스토텔레스는 역사가와 문인을, 문체의 차이가 아닌, 사건을 다루는 입장의 차이로 구분한다. 역사는 일어난 일들에 대해 이야기 하는 반면, 문학은 일어날 수 있는 일에 대해 이야기한다. 다시 현대철학자 들뢰즈의 표현으로 잇대자면, 역사란 ‘무엇이 일어났는가’에 대한 고증으로 뒤돌아보는 과거라면, 문학은 ‘무엇이 일어날 수 있었는가’에 대한 가정으로부터 시작되는 미래의 성격이다.
작가는 교직에서 겪었던 과거를, 그곳에서 일어나지 않았던 미래로 각색해보고 싶었다고 말한다. ‘하열아’라는 캐릭터는 그런 후회의 상징이다. 했어야 했지만, 알량한 현실의 문제에 치여 용기를 내지 못했던 결정적 순간에 대한 가책. 아주 오랜 시간이 지나서야 허구적 각색으로나마 다시 그 시점으로 돌아가, 그 가정의 미래 속에서 스스로를 구원해보고자 하는 열망의 방향성이 바로 ‘하여라!’라는 정언(定言)의 명령이다.
저 하늘 너머 어딘가에서 다시 만날
그날을 기도하며
그녀를 기다리며
이 소설이 내 개인사에서는 이문세와 빅뱅을 잇는 세 번째 〈붉은 노을〉의 의미이기도 하다. 이문세의 〈붉은 노을〉이 거리에 울려 퍼지던 시절로, 빅뱅의 〈붉은 노을〉이 연말 시상식에 울려 퍼지던 시절로 나를 데려가는…. 하열아가 5교시의 식곤증에 허덕이는 학생들에게 허하는 잠깐의 낮잠, 베고 자는 교과서에 침줄기를 쏟아내고 있던 학생들 중에는 어쩌면 우리들의 학창시절도 섞여 있진 않을까? 어느 누군가에게도 아주 잠깐이나마 그 시절 그 책상에서의 불편한 잠으로부터 깨어나게 하는, 회상의 온도로서의 〈붉은 노을〉이었으면 하는 바람으로…. - 〈작가의 말〉 중 -
본문 중에서
이런 무책임하고 못된 사람들이 교육을 말하고 학교를 말할 때는 또 입에 거품을 물고서 나댄다. 그러면서도 주일마다 꼬박꼬박 성당에 나간다고 한다. 양심도 없는 노인네가 또 천국엔 가고 싶은지…. 세례명이 아마 도베르만일 것이다. 이런 개새끼!
-p.49
그날 이후였던 것 같다. ‘까불며 살지 말자’라는 각성과 반성이 찾아든 때가…. 그 시절에 함께 일탈과 방황을 일삼던 다른 많은 친구들에게도 그 사건은 하나의 계기였다. 어떤 경우에는 내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처절하게 깨달은…. 친구의 죽음이란 너무도 혹독한 댓가를 치루고서야 조금은 어른이 될 수가 있었다. 녀석은 그렇듯 온몸으로 부딪혀 우리를 깨우치고 떠나갔다.
-p.103
그전까지는 다른 반을 찾아가 운동부 친구들과 떠들다 오면 그만이었는데, 이제는 그들이 없는 쉬는 시간에 누구와 떠들어야 할지를 몰라서, 쉬는 시간 내내 자는 척을 했다. 졸리지도 않은데, 누군가와 말을 하고 싶은데, 눈을 감고 엎드린 책상에 거친 숨으로 맺히는 습기만이 나와 함께했다. 학교의 점심시간이 그렇게 길었는지도 그때 처음 알게 되었다.
-p.140
중삐리, 고삐리들처럼 놀이터의 조성 목적과 이념을 잘 실현하는 나이대도 없다. 애들 놀라고 만들어 놓은 놀이터에 왜 지들이 죽치고 앉아 ‘놀고‘ 있는지…. 철봉과 그네에 붉은 노을이 와 닿을 즈음부터, 그들의 시간이 시작된다.
-p.150
이제 가끔씩이나 얼굴을 보는 어릴 적 친구 놈들이 그렇게 애틋하다. 언젠가 내 곁에서 내가 보고 들었던 것을 함께 보고 들었던 사람들, 그 추억을 공유하고 있다는 사실만으로도 멀어지는 뒷모습이 쓸쓸해 보이는 이들. 정수가 아쉬움 속으로 멀어져 간다. 마치 나의 어린 시절을 싣고 떠나는 듯하다. 이젠 그 시간들이 우리의 것이 아니라는 것을 새삼 일깨워주면서…. 그나저나 저 놈이 말하는 본사란 무슨 일을 하는 회사일까?
-p.207
얼마의 시간이 흘렀을까? 늦지는 않았을까? 조급한 마음으로 달려간, 핸드폰 액정에 찍힌 주소의 마을. 지어진 지 오래되어 보이는 임대 아파트 옥상에 누군가가 서 있다. 이 아파트 옥상이 몇 층인지, 이 아파트에 엘리베이터가 있었는지도 확인하지 못했다. 그냥 계단을 뛰어 오르는 중이다. 나는 종교가 없다. 기도도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 순간만큼은 하늘 어딘가에 있을 누군가에게 절실한 기도를 올리고 있다. 신은 아니다.
‘제발! 도와줘.’
-p.248
어린 왕자는 자신의 별에서 마흔 세 번이나 해가 지던 날을 회상하면서 말한다. 누구든 깊은 슬픔에 잠기면 노을을 사랑하게 된다고…. 세상사람 모두가 슬픔과 노을의 상관을 이해하고 있는지는 잘 모르겠다. 그러나 적어도 지금의 내게 노을진 풍경은 슬픔의 심상이다. 그것을 하루에 한 번 밖에 볼 수 없는, 더디 가는 이 지구에서의 시간들은 더 큰 슬픔이다. 지평선으로 져가는 붉은 노을을 매일같이 바라보며, 그 너머 어딘가에서 살아가고 있을 그녀를 매일같이 추억하고 있다. 하늘 끝으로 사라져가는 수많은 붉은 노을들을 떠나보낸 후에, 붉은 노을이 되어 사라져간 그녀가 다시 그 붉은 노을과 함께 나타날 그날을 기다리고 있다.
-p.2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