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
- 저자
- 이임하
- 출판사
- 책과함께
- 출판일
- 2010-06-25
- 등록일
- 2012-02-02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3MB
- 공급사
- 교보문고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말할 수 없었던 그리고 아무도 묻지 않았던 전쟁미망인의 삶
『전쟁미망인, 한국현대사의 침묵을 깨다』는 전쟁미망인들의 삶을 통해 한국전쟁사의 실제를 면밀히 분석하여 문헌 사료에 갇혀 있던 한국현대사의 이면을 살펴본다. 전쟁미망인들과 그 가족들의 인터뷰를 통해 그들이 전쟁과 전후(戰後)를 어떻게 살았는지 그대로 증언하며, 전쟁이 개인과 가정에 미친 영향, 전후 생존을 위한 몸부림, 여성이 가장이 되어 사회로 진출하게 된 정황, 국가의 전쟁미망인 서열화 정책 등을 증명한다. ‘전쟁미망인’이라는 이유로 시부모와 어린 아이들을 보호하고 생계를 유지해야 했으며, 남편의 전사 소식을 접하며 ‘전쟁미망인’이라는 꼬리표를 달게 된 과정 또는 상이군인으로 돌아온 남편의 생계를 책임지고 그들의 언어폭력에 시달리며 하루하루를 고통 속에서 살아갔던 전쟁미망인들의 삶을 통해 국가의 공식 기억과 전혀 다른 차원에서, 전쟁 동안 그리고 전쟁 뒤에도 지속된 한국전쟁의 숨겨진 역사를 낱낱이 밝히고 있다.
☞ 북소믈리에 한마디!
한국전쟁의 과정에서 탄생한 전쟁미망인은 ‘국가적 차원의 전쟁’이 ‘개인의 일상’에 어떻게 작용하고, 전쟁 후 국가가 어떻게 개인에게 전쟁의 책임을 전가했는지 생생하게 보여준다. 또한 전쟁이라는 행위가 개인을 파괴하고 가정을 파괴하고 국가를 파괴하는 행위임을, 지금까지 고통 받고 있는 전쟁미망인들을 통해 실질적으로 보여주며 그들이 왜 그 고통을 말하지 못하고 침묵해야 했는지, 전쟁이 여성들의 삶을 어떻게 바꾸어놓았는지, 현재까지 ‘끝나지 않은 전쟁’에 대해 조명하고 있다. 전쟁에 참전한 군인뿐만 아니라, ‘전쟁’이 개개인에 삶에 어떻게 침투하고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과정을 생생하게 볼 수 있다.
저자소개
저자 이임하
1965년 전남 영광에서 태어났다. 덕성여자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학위와 박사학위를 받았다. 1950년대 여성의 삶을 주제로 박사학위 논문을 쓰면서 한국전쟁 연구의 변두리에 머물렀던 ‘전쟁미망인’의 존재에 주목했고, 5년여의 연구와 전쟁미망인 45명의 구술 자료를 토대로 이 책을 집필했다. 현재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역사연구소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지은 책으로는 《계집은 어떻게 여성이 되었나》《여성, 전쟁을 넘어 일어서다》《한국 여성사 편지》가 있으며 《동아시아와 근대, 여성의 발견》《일상사로 보는 한국근현대사》《1970년대 민중운동 연구》《왜 80이 20에게 지배당하는가?》《20세기 여성, 전통과 근대의 교차로에 서다》《죽엄으로써 나라를 지키자》 등의 집필에 참여했다. 그 밖에 <한국전쟁 전후 동원행정의 반민중성> <1950년대 여성교육에서의 성차별과 현모양처 이데올로기> <해방 뒤 국가건설과 여성노동> <‘전쟁미망인’의 전쟁경험과 생계활동>, <상이군인들의 한국전쟁 기억> <한국전쟁기 유엔민간원조사령부의 인구조사와 통제> 등의 논문이 있다.
목차
책을 내면서
프롤로그_ 한국전쟁과 ‘전쟁미망인’
1. 전쟁, 그 뒤로도 오랫동안 사람들에게 남긴 상처
2. 왜 ‘전쟁미망인’인가?
3. 어떻게 들을 것인가?
4. 누구를 만났는가? ― ‘전쟁을 맞으며’ 살아온 여성들
1부 전쟁과 집 밖 세상
1. 군경미망인의 전쟁 경험
2. 피학살자미망인의 전쟁 경험
3. 상이군인미망인의 전쟁 경험
2부 낯선 세상에서 생존하는 길
1. 농업 노동과 가사 노동
2. 행상과 좌판
3. 여성 전문직, 바느질
4. 정규직, 공장노동자
5. 전쟁미망인 노동의 특징
3부 가부장과 ‘아직 죽지 아니한 아내’
1. 결혼하기
2. 일상의 감시와 통제
4부 여성가장과 새로운 공간의 창출
1. 공간 만들기와 전략들
2. 여성 가장이 만든 가족
3. 전쟁미망인과 ‘여성 가장’이라는 여성주체
5부 봉쇄된 균열
1. 국가폭력과 침묵하게 하기
2. 전쟁미망인의 섹슈얼리티
3. 전후 처리에서 선택된 여성과 배제된 여성들
에필로그_ 전쟁과 트라우마 ― ‘전쟁은 없어야 돼’
미주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