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세계는 점점 좁아지고 노마드적 삶이 일상이 되었다. 우리는 오늘은 여기, 내일은 저기에서 다양한 사람들과 만나고 일하고 소통하면서 살아간다. 마음을 다한 환대와 소통이 모두를 살리는 단 하나의 방법임을, 그 길 외에 다른 길이 없음을 천천히, 그리고 기꺼이 깨달아가며 살아간다. 이 책은 먼저 다문화 이론과 현황을, 다음으로 교수·학습의 실제를 제시했다. 이론과 현장적용의 문제를 함께 다루어 앞으로 진행될 다문화 교수방법 논의에 작은 발판이 되고자 했다.
목차
제1장 다문화 사회의 이해 1제2장 세계 여러 나라의 다문화 통합정책 13제3장 문화 학습의 원리와 다문화 교육 21제4장 다문화 교육의 쟁점 29제5장 상호문화능력의 이해 41제6장 문화 차이에서 시작하기 1 - 고맥락 문화 / 저맥락 문화 49제7장 문화 차이에서 시작하기 2 - 문화적 가변성 차원 63제8장 세계 여러 나라의 다문화 교육 75제9장 한국의 다문화 교육 정책 85제10장 한국의 다문화 교육 현황과 쟁점 103제11장 사회통합프로그램 분석과 운영 현황 117제12장 사회통합프로그램 교재 소개 129제13장 교수·학습 패러다임 143제14장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 155제15장 다문화 교육과정 모형 165제16장 다문화 수업 개발과 설계 175제17장 교사의 다문화 역량 185제18장 다문화 교수·학습 프로그램 197제19장 상호문화 교수·학습의 실제209제20장 외국 학생들의 자문화 소개하기 활동 219제21장 외국 학생들이 바라본 K-일상 229제22장 민속을 통한 다문화 교수·학습의 실제241제23장 교육연극을 통한 다문화 상황 이해 253제24장 PBL을 통한 한·중 단오 여행 프로그램 만들기 261제25장 북한이탈주민 이해하기 271제26장 이주노동자의 삶 이해하기 2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