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감염질환은 다른 질환과 비교하였을 때 지역별로 역학 차이가 뚜렷하고 임상 특성에 차이가 있을 수 있어 감염 전문가는 자신이 일하고 있는 지역에서 발생하는 감염질환에 대해 더 많은 지식을 갖추어야 한다. ‘감염학 3판’ 개정 작업을 시작하면서 집필 저자에게 감염질환의 특성을 고려하여 그동안 발표된 우리나라 자료를 망라해 달라는 요청이 있었다. 이러한 편집 방향에 맞추어 개정된 ‘감염학 3판’에는 우리나라 감염질환의 역학과 임상자료가 잘 정리되어 있다. ‘감염학 3판’이 우리나라에서 감염질환을 배우고 연구하고, 진료하는 독자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저자소개
편찬위원장
박상원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편찬위원회 (가나다 순)
강철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곽이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김민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박선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송준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윤기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용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최승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최준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최평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집필진 (가나다 순)
강창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강철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현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곽이경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구남수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권기태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권순경 경상국립대학교 생명과학부
권현희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김남중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김동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김민재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김백남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김성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김신우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김양수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김연숙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김연재 국립중앙의료원
김영근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김예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김우주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김윤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김지은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김지현 연세대학교 생명과학부 및 시스템생물학과
김진영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김진용 인천광역시의료원
김창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충종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김 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김홍빈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노지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박경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경화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박대원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박성연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박정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박진주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방지환 국립중앙의료원
백경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서유빈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서준원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성 혜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성흥섭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손준성 경희대학교 의과대학
송경호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송준영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송진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소연 가톨릭관동대학교 의과대학
안종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안진영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엄중식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염준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염진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오원섭 강원대학교 의과대학
원은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위성헌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유시내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유진홍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윤기욱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윤나라 조선대학교 의과대학
은병욱 을지대학교 의과대학
이동건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이상오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이선희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이은정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이재갑 한림대학교 의과대학
이진수 인하대학교 의과대학
이창섭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이현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이효진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전민혁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전재범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전재현 국립중앙의료원
정두련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정봉광 한국건강관리협회
정수진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정숙인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정은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지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정희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조남혁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조선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조성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조은영 충남대학교 의과대학
조혜경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진범식 국립중앙의료원
채규태 국립소록도병원
최상호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최성준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최성호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최수미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최영준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최영화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최원석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최은경 한림대학교 일송생명과학연구소
최재기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최준용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최평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추은주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한미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한상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허경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허중연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허지안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허지원 충남대학교 생명정보융합학과
홍성관 차의과학대학교
황상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목차
추천사3판 발간사2판 발간사초판 발간사집필진Section 1. 기본 총론1. 감염질환의 변천사2. 감염병의 신속분자검사 진단3. 예방접종4. 의료관련감염의 관리5. 우리나라 감염병 관리 정책Section 2. 임상총론1. 발열2. 불명열3. 패혈증4. 중추신경계 감염5. 안감염6. 상기도 감염증7. 하기도 감염8. 심혈관계 감염: 감염성 심내막염9. 복강내 감염과 농양10. 위장관 감염11. 요로감염12. 생식기계 감염13. 피부연조직 감염14. 골관절 감염Section 3. 세균 질환1. 세균의 구조2. 세균의 분류와 마이크로바이옴3. 세균감염의 진단4. 포도알균 감염5. 사슬알균 감염6. 폐렴알균 감염7. 장알균 감염8. 디프테리아9. 리스테리아10. 클로스트리듐 감염증11. 클로스트리디오이데스 디피실레 감염12. 탄저균 감염13. 수막알균 감염14. 임균감염15. 헤모필루스와 모락셀라 감염16. 레지오넬라증17. 백일해18. 그람음성 장내세균 감염19. 녹농균 감염20. 아시네토박터균 감염21. 캠필로박터와 헬리코박터 감염22. 콜레라, 장티푸스, 세균성이질23. 비브리오 패혈증24. 브루셀라25. 페스트와 야토병26. 노카디아증27. 방선균증28. 혐기균 감염29. 결핵30. 한센병31. 비결핵성 마이코박테리아 질환32. 매독33. 렙토스피라병34. 라임병35. 리케차병과 큐열36. 마이코플라즈마와 클라미디아Section 4. 바이러스 질환1. 바이러스 개요2. 바이러스 질환의 진단3. 단순포진바이러스4.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5. 엡스타인-바 바이러스6. 거대세포바이러스와 사람헤르페스 바이러스 타입 6, 7, 87. 파보바이러스 B198. 사람유두종바이러스9. 호흡기바이러스10. 인플루엔자11. 바이러스 위장관염12. 엔테로바이러스13. 홍역, 풍진, 볼거리14. 광견병(공수병)15. 신증후출혈열16.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17. 코로나-1918. 엠폭스와 그 외 폭스바이러스19. 에볼라바이러스와 마르부르크바이러스Section 5. 진균 질환1. 진균감염의 개요2. 칸디다증3. 크립토코쿠스증4. 아스페르길루스증5. 털곰팡이증6. 폐포자충증7. 흔하지 않은 진균감염8. 표재진균감염Section 6. 기생충 질환1. 장내 선충 감염증2. 장내 조충 감염증3. 흡충 감염증4. 조직침습성 연충 감염증-15. 조직침습성 연충 감염증-26. 장내 원충 감염증7. 질편모충과 톡소포자충8. 말라리아9. 해외유입 기생충 질환10. 그 외 기생충 질환: 자유생활아메바, 옴, 빈대11. 여행의학Section 7. 특수한 환자의 감염1. 항암 치료 후 감염2. 면역억제제 투여자에서의 감염3. 선천성 감염과 신생아 감염4. 조혈모세포이식 후의 감염5. 고형장기이식 후의 감염6. 화상 환자의 감염7. 노인 환자의 감염8. 당뇨병과 비장절제 환자에서의 감염9. 프리온Section 8. 사람면역결핍바이러스 감염과 에이즈1. HIV 감염의 역학2. 국내 HIV 감염의 특성3. HIV 감염의 발병기전4. HIV 감염의 진단 및 치료를 위한 검사5. HIV 감염의 임상 양상6. HIV 기회 질환7. HIV 감염의 치료8. HIV 감염의 예방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