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운과 행복한 삶의 딜레마를 다룬 우리 시대의 지성 마사 누스바움의 대표작『연약한 선』은 우리 시대의 대표적 지성으로 평가받는 마사 누스바움의 데뷔작이자 그녀의 이후 모든 저술의 이론적 토대가 된 대표작이다. 1986년 이 책이 나왔을 때 ‘탁월한 학문적 업적’ ‘20세기 최고 수준의 학술서’라는 학계의 극찬을 받으며 저자 누스바움의 이름은 인문학계에 널리 알려졌으며 여러 대중매체의 주목까지 받으며 그녀의 이름은 학계를 넘어 일반 대중에게까지 알려지게 되었다. 『연약한 선』이라는 거대한 책은 인간의 좋은 삶은 외부(및 내부) 세계의 우발적인 상황에 어느 정도 취약한가, 하는 윤리의 핵심 문제를 정면으로 탐구한다. 인간의 삶에서 운이 행복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해 그에 대한 논의는 칸트 윤리학 이래 놀라울 정도로 빈약했는데 누스바움은 그런 흐름에 정면으로 반발하며 운과 행복이라는 윤리적인 딜레마를 희랍 비극,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를 종합하면서 이 책에서 논의하고 있다. 누스바움은 고전학자로서의 학문적 엄격함을 잃지 않으면서도 일반 독자들이 이 중요한 문제에 접근할 수 있는 방법적 모델을 이 책에서 보여주고 있다.
저자소개
세계적으로 영향력 있는 지식인이자 2014년 인터넷(영어)에서 가장 많이 인용, 검색, 링크된 사상가 22위에 선정되었다. 법철학자, 정치철학자, 윤리학자, 고전학자, 여성학자로서 『포린폴리시』가 선정한 ‘세계 100대 지성’에 두 차례(2005, 2008년)나 뽑힌 석학이다. 시카고 대학교 로스쿨과 철학과의 법학·윤리학 석좌교수이며, 고전학과, 신학과, 정치학과에도 소속된 교수다. 미국철학회 회장을 역임했고, 비교헌법센터를 설립하였으며 인권프로그램 위원이었다. 유엔대학 직속 세계개발경제 연구소 자문위원으로서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아마르티아 센과 함께 UN인간개발지수(HDI)를 만드는 데 기여했다. 뉴욕 대학교에서 연극학과 서양고전학을 공부하고, 하버드 대학교에서 고전철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주로 고대 그리스·로마 철학, 정치철학, 페미니즘, 윤리학에 관심을 갖고 깊이 있는 연구를 바탕으로 독창적인 저서들을 발표하여 매번 화제가 되고 있다. 미국 국립인문재단(National Endowment for the Humanities)의 2016년 제퍼슨 렉처(Jefferson Lecture) 교수진이었으며 2016년 교토 예술·철학상(Kyoto Prize in Arts and Philosophy), 2018년 베르그루엔 철학·문화상(Berggruen Prize in Philosophy and Culture), 2021년 홀베르그상(Holberg Prize)을 수상했다. 이 세 개의 상은 노벨상이 없는 이 분야에서 가장 권위 있는 상으로 여긴다. 2022년 스피노자 렌즈상(SPINOZA LENS Prize)을 수상하며 ‘동물을 위한 정의’를 주제로 강연했다. 『연약한 선』『교만의 요새』『혐오와 수치심』 『타인에 대한 연민』 『역량의 창조』를 비롯한 22권의 저서를 발표했다.
목차
개정판 서문서문감사의 말약어표1장 운과 윤리학1부 비극: 연약성과 야망2장 아이스퀼로스와 실천적 갈등3장 『안티고네』: 갈등, 시야, 그리고 단순화1부의 결론2부 플라톤: 연약성 없는 선?서론4장 『프로타고라스』: 실천적 추론의 과학막간1장 플라톤의 반(反)비극 희곡5장 『국가』: 참된 가치와 완전함에서 바라본 관점6장 알키비아데스의 연설: 『향연』 읽기7장 ‘이 이야기는 사실이 아니네’: 『파이드로스』에서의 광기, 이성, 변설3부 아리스토텔레스: 좋은 삶의 연약성서론8장 아리스토텔레스의 현상 개념 구하기9장 이성적 동물 그리고 행동에 대한 설명10장 비과학적 숙고11장 좋은 삶의 취약성: 활동과 재난12장 좋은 삶의 취약성: 관계적 좋음3부의 부록 인간과 신막간 2장 운과 비극적 감정에필로그 비극13장 관습의 배신: 에우리피데스의 『헤카베』 읽기참고문헌색인옮긴이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