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정보
아리스토텔레스와 그의 전복자들
- 저자
- 박재용 저
- 출판사
- 사월의책
- 출판일
- 2025-08-01
- 등록일
- 2025-09-26
- 파일포맷
- EPUB
- 파일크기
- 52MB
- 공급사
- YES24
- 지원기기
-
PC
PHONE
TABLET
웹뷰어
프로그램 수동설치
뷰어프로그램 설치 안내
책소개
16~17세기 근대 과학혁명을 읽는 또 다른 방법
근대 과학혁명은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에 대한 모반의 역사였다.
아리스토텔레스 천년 제국을 무너뜨린 혁명가들의 이야기
16~17세기 유럽에서 일어난 과학혁명은 인류사의 가장 중요한 분기점 가운데 하나일 것이다. 그것을 ‘혁명’이라 부르는 것은 단지 몇몇 과학적 발견으로만 그치지 않는, 그때까지의 세계관에 일대 전환을 가져온 사건이었기 때문이다. 천문학, 역학, 화학, 생물학에서 동시다발적으로 진행된 과학혁명은 갈릴레오, 뉴턴 등에만 주목해서는 이해하기 어렵다. 그것은 무엇보다도 고대와 중세를 오래도록 지배해온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을 극복하려는 시도였다. 이 책은 자연 전체를 목적론적이고 위계적인 질서 안에 엮어 넣은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의 성립과 그 전복의 과정을 친절한 필치로 설명함으로써 독자에게 근대 과학혁명의 진정한 의미를 전하고자 한다.
이 책의 저자 박재용은 과학이 바꾼 인류 역사, 과학의 정신, 과학과 사회의 관계 등에 대해 그간 여러 권의 책을 쓰고 활발한 강연 활동을 이어온 과학저술가이다. 저자는 이 책에서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관’을 키워드 삼아 서양 과학사 전체를 재구성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자연학은 그 이전의 자연철학을 종합하고, 또 이후에도 천 년이 넘도록 유럽인의 사고를 지배한 그야말로 ‘모든 것의 이론’(Theory of Everything)이었다. 이 책은 아리스토텔레스 사상이 이슬람 과학을 거쳐 중세에 부활하고 다시 근대 초의 과학자들에 의해 전복되는 과정을 자세히 추적함으로써, 근대 과학혁명을 가능케 한 정신을 드러내고자 한다. 독자는 이 책에서 아리스토텔레스 과학을 떠받쳤던 사변적 이론과 목적론적 세계관이 관찰과 실험, 수학적 정합성이라는 근대 과학의 방법론에 의해 무너지는 과정을 읽으면서, 과학의 역사와 그 정신에 대해 한층 깊이 있는 이해를 얻게 될 것이다.
저자소개
과학 저술가. 대학에서 물리를 전공하다가 그만둔 후, 다른 길을 걷다가 전업 작가로 일한다. 과학과 과학이 바꾼 역사, 그리고 사회에 대한 글을 주로 쓴다. 지은 책으로 『과학이 알을 깨고 나올 때』, 『궁금해! 지구를 살리는 미래과학 수업』, 『녹색성장 말고 기후정의』, 『냉장고를 여니 양자역학이 나왔다』, 『괴담으로 과학하기』, 『불평등한 선진국』 등이 있다.
『과학자처럼 생각하는 법』에서는 과학으로 우리가 무엇을 안다는 의미를 다양한 시선으로 바라봄으로써 궁극적으로 과학이 추구하는 지점을 쉽고 깊게 설명하였다.
목차
들어가는 글: 과학혁명 - 아리스토텔레스적 세계관의 전복
제1부 아리스토텔레스의 세계
- 고대 그리스의 자연철학자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승리
1장 그리스 자연철학
1. 탈레스
2. 아낙시만드로스
3. 피타고라스
4. 파르메니데스
5. 플라톤
6. 아낙시메네스
7. 헤라클레이토스
8. 데모크리토스
9. 엠페도클레스
2장 아리스토텔레스가 본 세계
1. 아낙사고라스 - 아리스토텔레스를 예비하다
2. 4원인론, 실체와 연속체
3. 아리스토텔레스의 우주
4. 운동은 왜 일어나는가?
5. 아리스토텔레스의 생물학 - 동식물의 위계
6. 아리스토텔레스의 화학 - 혼합과 결합의 원리
7. 남은 이야기 - 사변과 실험
3장 지구중심설 대 태양중심설
1. 피타고라스의 행성
2. 아리스타르코스 - 지구가 돈다
3. 에우독소스 - 천체에 대한 수학적 설명
4. 히파르코스 - 관측과 수학적 계산
5. 프톨레마이오스의 등장
제2부 소멸, 복권, 균열
- 아리스토텔레스의 부활과 반란의 전조
4장 헬레니즘 시대
1. 무세이온과 도서관
2. 신플라톤주의와 헤르메스주의
3. 새로운 원자론, 에피쿠로스학파
4. 최초의 회의주의, 피론주의
5장 이슬람으로 간 아리스토텔레스
1. 유럽, 아리스토텔레스를 지우다
2. 지혜의 집
3. 이슬람의 수학
4. 이슬람의 천문학
5. 이슬람의 역학
6. 이슬람의 광학
7. 이슬람의 의학
6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복권에서 균열까지
1. 유럽의 중세
2. 번역 르네상스
3. 대학의 탄생
4. 대학, 아리스토텔레스를 품다
5. 15세기, 불온한 조짐
6. 16세기의 균열
제3부 과학혁명
- 아리스토텔레스 세계관의 종언
7장 새로운 철학, 새로운 방법론
1. 점성술과 연금술 - 근대 과학의 싹
2. 유명론자들
3. 영국 경험론
4. 프랜시스 베이컨, 경험과 귀납
5. 데카르트, 사유와 방법
8장 천문학 혁명
1. 코페르니쿠스
2. 튀코 브라헤
3. 요하네스 케플러
4. 조르다노 브루노
5. 갈릴레오 갈릴레이
9장 역학 혁명
1. 임페투스
2. 윌리엄 길버트
3. 관성의 개념
4. 낙하 운동의 분해
5. 상대성 원리
6. 갈릴레오와 실험물리학의 탄생
10장 뉴턴
1. 뉴턴의 우주
2. 힘과 가속도
3. 빛은 입자다
4. 뉴턴의 시공간
11장 데모크리토스의 후예들
1. 갈릴레오와 토리첼리 - 신과 진공
2. 스코틀랜드의 기체화학자들
3. 라부아지에
4. 돌턴
5. 볼츠만과 마흐
12장 생물학 혁명
1. 혁명 이전
2. 베살리우스와 하비
3. 현미경과 세포
4. 린네와 종의 분류
5. 생물학 혁명과 진화론
맺는 글: 과학혁명과 근대 과학의 탄생
참고도서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