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농부로 살 수 있을까
‘언젠간 농사짓고 살 거야!’
사무실에 자꾸만 쌓이는 이면지가 신경 쓰이던 정화, 환경 단체에서 일하던 신범. 지속가능한 삶의 방식을 고민하던 이들이 직장을 그만두고 유럽으로 떠났다. 독일의 도시숲과 지역 시장, 덴마크의 스반홀름 공동체와 영국에서의 우프까지 숲으로, 산으로, 텃밭으로 떠난 여행! 그렇게 만난 유럽 농부들에게서 발견한 친환경적인 삶의 가능성. 과연 우리도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한 농부로 살 수 있을까?
나는 더 이상 싸고 양 많은 음식을 고르고 싶지 않았다. 먹고 나서 속이 더부룩하지 않은, 뭐가 들어갔는지 분명히 알 수 있는 안전하고 건강한 음식을 먹고 싶었다. 돈을 쓰기 위해 일하고 싶지도 않았다. 지출을 줄여 돈 벌 일을 줄이고 싶었다. 노동의 가치를 인정받고 싶었다. 아니, 노동의 결과물을 직접 누리고 싶었다. _본문 중에서
숨 가쁜 서울살이에 마침표를 찍고
대안적 삶을 찾기 위해 무작정 떠난 유럽 여행.
이곳에서 우리가 원하는 미래를 만날 수 있을까?
사회적기업에서 일하던 정화와 환경단체에서 일하던 신범 부부는 이른바 ‘종합재미상사’라는 이름으로 프로젝트를 꾸려 일상의 재미를 찾는 활동을 해왔다. 오늘이 어제 같고, 내일이 오늘 같을 감흥 없는 하루에 지친 사람들을 모아 취미 활동을 하고 새로운 일을 작당하는 이 프로젝트는 SNS에서 수많은 이들의 호응을 얻었다. 그러던 와중에 부부는 ‘농사짓는 재미’를 발견한다. 옥상 텃밭을 시작으로 지인들과 노들섬에 텃밭을 분양받아 1년간 수박, 옥수수, 고구마, 쌈 채소 등 이것저것 조금씩 심어보며 수확의 기쁨을 맛봤다. 자급자족을 경험하면서 안전한 먹거리에서 오는 신뢰감, 자연이 주는 풍요로움을 느꼈다. 앞으로도 계속 음식다운 음식을 먹고 싶었다.
더불어 삶을 지치게 만드는 것들로부터 자유롭고 싶었다. 하루 종일 일하느라 지친 몸을 이끌고 집에 와도 맘 편히 쉴 수가 없었다. 서둘러 밥 먹고 치우고 내일의 노동을 위해 다시 잠들어야 하는 삶. 물질주의, 성과주의, 자본주의에 물든 도시에서의 일상은 버텨야 하는 일들의 연속이었다.
30대 평범한 부부를 향한 사회적 통념들이 그들을 옥죄는 듯했다. 아이를 낳아 기르기 위해, 터무니없이 비싼 집값을 마련하기 위해 끝없이 돈을 벌어야 하는 인생. 부부에겐 대안적 삶이 필요했다. 직접 가꾼 건강한 식재료로 만들어 약이 되는 식사, 성실히 일한 대가가 온전히 내게 돌아오는 노동, 미래를 도모하는 친환경적인 삶. 부부는 어렴풋이 바라던 것들을 이미 실천하고 있는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과감히 유럽으로 떠났다.
자연과 인간이 한데 어우러진 터전
가지각색 유럽 농부들의 소신 있는 삶
부부는 남들과는 조금 다르게 유럽 여행을 즐긴다. 환경대국 독일을 시작으로 덴마크의 스반홀름 공동체를 방문한 뒤 영국에서는 유기농 농가를 방문해 농사일을 돕고 숙식을 제공받는 교류 프로그램인 우프(WWOOF)를 체험한다. 이들은 유명한 관광지엔 관심도 없고 숲이나 공원, 잔디밭처럼 자연이 있는 곳이라면 발바닥에 땀나도록 찾아다닌다. 주민들의 삶을 가까이에서 관찰하기 위해 작은 동네 시장, 가게, 지역 모임을 찾아가고 그들과 직접 살아보기까지 한다. 유럽 농부들의 일상에 직접 뛰어들어 생활하면서 자신들의 미래를 가늠해본다.
가장 먼저 도착한 독일에서는 도시숲을 거닐며 자연과 밀착한 도시 풍경을 만나고, 지역 활성화 및 교류의 보고(寶庫)인 크고 작은 플리마켓을 찾아다닌다. 또한 지속가능한 삶을 고민하고 해결책을 공유하는 지역 커뮤니티에도 참여한다. 덴마크에선 생태, 경제 공동체의 모범이 되는 스반홀름에 찾아가 먹고 자면서 공동체 일을 돕는다. 끝이 보이지 않는 대평원. 반나절 농사일은 처음이라 서툴고 힘들지만 오후의 달콤한 휴식, 직접 키운 작물로 만든 맛 좋은 식사가 충분히 채워준다. 에너지 자립, 이동 수단 공유 등 혼자선 불가능했을 스반홀름의 시스템을 경험하며 진정한 공동체의 의미를 터득해간다.
덴마크의 대형농을 경험한 이들은 영국으로 건너가 소농의 삶을 체험한다. 은퇴 후 땅을 사서 농사를 짓는 노부부, 유기농 식료품 가게를 열고 가게에서 판매할 작물들을 직접 재배하는 청년들, 일과 농사를 병행하는 부부 등 각자 원하는 방식으로 자급자족하는 영국 농부들과 지내며 삶의 다양한 형태를 배운다. 장작도 패고, 잡초도 뽑고, 흙도 퍼다 나르며 경험한 농부의 육체노동은 결코 만만치 않았다. 하지만 오후 세 시부터 주어진, 서울에선 경험하지 못했던 여유로운 저녁이 고된 몸과 마음을 다독였다. 주말이면 들로 산으로 나가 너른 자연의 절경을 만끽하고, 이웃과 유기농 식재료로 만든 건강하고 맛있는 음식들을 나누며 지냈다. 어디서든 당당하게 자신의 철학을 이야기하며 나와 이웃, 미래 세대를 위해 사는 유럽 농부들의 면면을 이 책에 빼곡히 담았다.
부족할 줄 알았는데 왠지 더 풍족한 하루
어디에서든 삶의 전환은 가능하다
여행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온 부부는 서울 생활을 정리하고 경기도 양평에 300평 밭을 사서 본격적으로 농부 생활을 시작한다. 시골살이 1년차. 그들은 ‘종합재미농사’라는 이름으로 농부 시장 마르쉐@에 수확물을 들고 출점하는 어엿한 농부가 되었다. 농사 지도까지 그려가며 정성껏 심은 첫 작물들은 생긴 건 조금 못나도 여럿에게 나눠 주고도 남을 만큼 풍족하고 맛있었다. 이전보다 가진 현금은 부족해도 스스로 키운 것들로 삶은 오히려 풍요롭고, 마음도 넉넉해졌다.
이들은 결국 시골로 내려가 농부의 삶을 택했지만 어디까지나 가장 원하는 삶에 가까운 모양을 찾아 시도한 것이다. 앞으로 다른 형태의 삶을 선택할 수도 있다. 저자는 시골에 내려가 농부가 되지 않아도 삶의 전환은 가능하다고 말한다. 작은 약속과 실천을 통해 도시에서도 얼마든지 친환경적으로 살 수 있다. 나와 주변 환경을 소진하며 살지 않기 위해 모두가 농부가 되어야 하는 건 아니지만, 어디서든 농부의 마음으로 살 순 있는 것이다. 이 책을 통해 대안과 용기를 얻어 각자에게 어울리는 삶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